학술논문
소규모주택정비사업에서 프롭테크 기술 활용 사례 연구 : 가로주택정비사업을 대상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Case Study on PropTech Utilization in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 Focusing on Block-unit Renewal Project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임혜연(Haeyeon Lim)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35권 제1호, 59~7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규모주택정비사업에서 프롭테크 기술을 활용한 사례를 살펴보기 위하여 LH공사 및 SH공사 등에서 주택정비사업의 초기 사업성 분석에 활용하고 있는 엘비디벨로퍼(LBDeveloper) 서비스를 실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로주택정비사업에서 프롭테크 기술의 적용 방식과 활용 현황을 고찰하고, 프롭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종전자산, 종후자산, 총사업비를 산출하고 비례율을 추정하였다. 이후 분석 결과를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산출한 사업성 분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프롭테크 서비스의 효용성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인공지능 건축설계와 빅데이터와 같은 프롭테크 기술을 활용하면 정비사업 대상지의 사업추진 요건 판별, 설계안 도출, 사업성 분석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신속한 정보제공을 통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프롭테크 기술이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사업성 검토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지만 전문가의 역할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으며 최종 사업성 검토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는 전문가의 검토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향후 다양한 프롭테크 서비스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며, 정비사업 외에 부동산 분야에서 프롭테크 기술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Proptech application in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by analyzing LBDeveloper, a service utilized by the LH Corporation and SH Corporation for the preliminary feasibility analysis of housing renewal projects.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lementation and utilization of PropTech in block-unit housing renewal projects and applies PropTech services to estimate the asset value of former and postdevelopment properties and the total project costs. Then, results were compared with traditional feasibility assessment method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PropTech services. Findings indicated that leveraging PropTech technologies, such as AI -driven architectural design and big data analytics, can enhance efficiency in project feasibility assessments. This result can be achieved by reducing the time and costs associated with determining project eligibility, generating design proposals, and analyzing business viability. Furthermore, the rapid provision of data-driven insights facilitates informed decision-making in the early stages of the redevelopment process. Although PropTech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feasibility assessments in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it cannot entirely replace the role of experts. The reason is that final project evaluations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require expert review.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comparative analyses of various PropTech services and explore their applicability beyond housing renewal projects to the broader real estate sector.
목차
Ⅰ. 서론
Ⅱ. 제도 및 선행연구 검토
Ⅲ. 가로주택정비사업에서 프롭테크 기술의 적용과 활용
Ⅳ. 프롭테크 기술을 활용한 가로주택 정비사업 사업성 검토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주거선택 환경요인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원도심·신도시의 거주만족도와 장기거주의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일본의 도쿄 일극집중에 관한 고찰
- 서울 아파트시장에 있어 공인중개사의 역할 - 중개거래의 유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