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령 부모와 성인 자녀의 근접 거주가 손자녀 돌봄 및 첫 출산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Impact of Close Residence between Aging Parents and Adult Daughters on Grandchild Care and First Birth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정보선(Bo Seon Jung)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35권 제1호, 7~2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손자녀 돌봄은 출산 후에만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1단계에서 고령화연구패널조사 2012~2020년 자료를 이용하여 자녀와 비동거하는 55세 이상 고령가구를 대상으로 실제 손자녀 돌봄 가능성과 고령 부모와 성인 자녀 간 근접성·만남빈도·상호작용항과의 연관성을 검증한 후, 분석 2단계에서 여성가족패널조사 2012~2020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출산 이력이 없는 가임기간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손자녀 돌봄 지원에 대한 기대를 근사화한 근접 거주가 성인 딸의 첫 출산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한계효과를 분석하였다. 1단계 분석 결과 세대 간 근접 거주는 손자녀 돌봄 제공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2단계 분석 결과 40대에 비해 20대·30대 여성이, 경제 상태가 어려운 경우에 비해 여유롭다고 느끼는 경우, 월세에 비해 전세가, 점유 형태가 상향 이동한 경우, 부모와 딸이 근접 거주하거나 가까워진 경우에는 첫 출산 가능성이 증가한다. 반면 주거 면적이 85㎡ 초과에 비해 60㎡ 이하는 그 가능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적절한 주거 면적과 주거 안정화를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가족 간의 상대적 주거 위치는 손자녀 돌봄 지원, 출산 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sed a two-stage approach because grandchild care can only be performed after childbirth. The first stage of the analysis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ossibility of real grandchild care and proximity, meeting frequency, and interaction terms using data from KLoSA from 2012 to 2020. The second stage analyzed the effect of proximity approximating grandchild care support expectationson the possibility of the daughter’s first birth transition using data from KLoWA between2012 and 2020. The results of the first stage revealed that intergenerational proximity was closely related to the provision of grandchild care. Meanwhile, the results of the second stage indicate that the possibility of transition to first birth increases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compared with those in their 40s, for women in comfortable economic situations compared with those in difficult economic situations, for women who live in jeonse compared with those who rent, when tenure status improves, and when intergenerational proximity is high or increasing. Conversely, the possibility of transitioning to first birth decreases for those living in homes smaller than 60㎡ compared with those in homes larger than 85㎡. Therefore, policy considerations are needed for adequate housing areas and housing stabilization. In addition, the relative residential position of the fami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pporting grandchild care and the decision to give birt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의 틀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주거선택 환경요인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원도심·신도시의 거주만족도와 장기거주의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일본의 도쿄 일극집중에 관한 고찰
- 서울 아파트시장에 있어 공인중개사의 역할 - 중개거래의 유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