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자생적 미술품 경매 시장에 관한 연구

이용수 7

영문명
A Study on the Self-Vitality Art Auction Market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이그림(Geulim Lee)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73집, 297~333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현대미술의 ‘자생력’ 개념을 미술품 경매 시장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통해 재조명함으로써, 기존의 미학·비평 중심 담론을 경제·제도적 시야로 확장하고자 한다. 1970년대 이후 국내 미술계는 갤러리·미술관·전문 비평가의 등장, 해외 교류 확대 등으로 급속히 외연을 넓혔고, 이는 자생력 담론이 전통과 현대, 해외 문화와 국내 정체성 간의 교섭 속에서 새롭게 실천되는 기반이 되었다. 하지만 비제도권 경매가 초창기 시장 활성화와 대중화에 이바지한 사실은 기존 연구에서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본 연구는 주목한다. 이러한 비제도권 경매의 활동과 제도화 과정의 상호 영향을 분석하여, 한국 경매 시장이 단순한 서구 모델의 수용이 아니라 복합적 문화 교섭을 통해 자연스레 형성된 ‘자생적 생태계’임을 밝힌다. 이를 통해 한국 현대미술의 대중적 확산과 해외 교류에 핵심 플랫폼으로 기여해 온 경매 시장의 의미를 규명하고, 향후 한국 미술 시장의 지속 가능한 구조와 문화적·사회적 자생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한국 현대미술계가 지향해야 할 경쟁력의 원천과, 지속적 성장을 위한 구체적 방안도 아울러 살펴보고자 하며 다학제간 연구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he concept of “Self-Vitality (자생력)” in Korean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art auction market, thereby expanding existing discourses—previously centered on aesthetics and criticism—into economic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Since the 1970s, the Korean art scene has rapidly broadened its scope with the emergence of galleries, museums, and professional critics, as well as increased international exchanges. This expansion provided a foundation for recontextualizing the discourse on self-sustaining capacity, newly practiced through negotiation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between foreign cultures and domestic identity. Notably, previous research has not sufficiently addressed the role that non-institutional auctions played in the early revit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the market. By analyzing the activities of these non-institutional auctions and the mutual influences of their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Korean auction market is not simply an adoption of Western models but rather a “Self-Vitality” formed organically through complex cultural negotiations. Building on this analysis, the study clarifies the significance of the auction market as a central platform for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contemporary art and for overseas exchanges, while proposing directions for fostering a sustainable structure and cultural and social self-vitality capacity in the Korean art market. Ultimately, it analyzes the sources of competitiveness that the Korean contemporary art field should pursue and explores concrete strategies for sustainable growth. It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diverse perspectives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윙하단] 시사북스 JLPT 기획전
  • [윙하단] 작가정신 대여전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