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성형 AI 활용 영어수업에서 초등학생의 프롬프트 사용과 리터러시 특성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primary EFL learners’ prompt use and literacy in English classes utilizing generative AI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솔(Kim, Sol)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30권 4호, 101~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EFL learners who exhibited
advanced prompt literacy when working with generative AI. It explored how
elementary students crafted and refined prompts to create images for specific
conversation contexts. Twenty-two third-grade learners participated in a semester-long
project in 2024. The data included students’ hand-drawn sketches of conversation
scenes, crafted prompts, AI-generated images, final artworks, learning logs, and
teaching journals. The data were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using
a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created prompts an average of
3.89 times. However, they used identical prompts 1.47 times, resulting in original
prompt usage of 2.42 times. The percentage of students using identical prompts was
notably high at 25.7%. Additionally, three notable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among
students with advanced prompt literacy: context interpretation, prompt refinement, and
critical thinking. Students who clearly understood the context were able to create
prompts rich in context. Critically examining AI output, these students iteratively
improved their prompts for better results. This study adds empirical evidence on how
EFL learners creatively express their ideas in English conversation contexts by using
digital devices. It advocates for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cultivating prompt literacy
in futuristic primary English education.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Effect of English Musicals on Young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and Self-Efficacy
- 영어 기능 통합교육의 효과성 제고 방안: 쓰기 활동과 읽기 활동의 연계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활용 영어수업에서 초등학생의 프롬프트 사용과 리터러시 특성 연구
- 2022개정 교육과정 기반 언어 기능 통합적 접근법이 6학년생의 영어 말하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영어교육 제30권 4호 목차
-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초등영어 수업 방안 탐색: 그림책 활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