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술로서의 교육: 듀이 예술이론의 교육적 성격에 관한 논의
이용수 0
- 영문명
- Education as Art: A Discussion on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Dewey’s Theory of Art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최훈(Hoon Choi)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제42권 제4호, 169~19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듀이에게 있어서 예술은 통합적이고 완성적인 경험에 관한 가장 생생하고 풍부한 예증이다. 통합적이고 완성적인 경험은 인간과 환경을 이용과 지배의 관계에서 벗어나게 하고 조화와 합일의 상태에 이르게 한다. 듀이는 예술에 관한 자신의 고유한 이론을 발전시킴으로써 예술 이해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예술이 “인류 역사에서의 가장 위대한 지적 성취”임을 증명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예술과 일상적 삶의 연속성에 관한 듀이의 논의에 기초하여 예술의 개념적 명확화를 시도하고 (2) 결과와 수단의 연속성의 관점에서 예술 개념에 교육적 성격이 내재해 있음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듀이에 따르면 예술은 일상적 삶에서 시작하며 일상적 삶으로 되돌아가서 일상적 삶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예술과 일상적 삶의 관계에 대한 듀이의 기능주의적 접근을 예술과 교육의 질적 동일성에 관한 논의로 발전시킨다. 이를 통해서 예술의 목적으로 파악되는 미적 경험은 교육을 기계적 인과에서 벗어나게 하는 계기로 제시되며 위대한 예술에 대한 듀이의 전망은 교육 목적으로 파악되는 삶의 성장을 개념적으로 더욱 풍부하게 하는 건설적인 관점으로 제시된다. 논의의 체계적 전개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듀이의 경험적 방법이 그의 예술이론에 관한 논의에 포괄적으로 적용된다.
영문 초록
For Dewey, art represents the most vivid and enriched exemplification of integral and consummatory experience, one that frees humans from relationships of exploitation and domination with their environment, leading them to a state of harmony and oneness. By advancing his distinctive theory of art, Dewey provides a new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rt, asserting that it should be regarded as “the greatest intellectual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human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wofold: to 1) establish a conceptual definition of art grounded in Dewey’s exploration of the continuity between art and ordinary life and 2) uncover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he concept of art through the lens of the continuity between ends and means. Dewey contends that art arises from ordinary life, returns to it, and contributes to its improvement and enhancement. This study develops Dewey’s functionalist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ordinary life to delving into the qualitative identity of art and education. Within this framework, the aesthetic experience understood as the purpose of art is presented as a opportunity that frees education from mechanical causality. Dewey’s perspective on great art is framed as a constructive viewpoint that conceptually enriches the idea of growth recognized as the objective of education. To systematically develops this argument, this study applies Dewey’s empirical method comprehensively to his theory of art.
목차
Ⅰ. 서론
Ⅱ. 경험적 방법
Ⅲ. 예술과 미적 경험
Ⅳ. 미적 경험의 교육적 실현
Ⅴ. 예술로서의 교육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