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루소와 듀이 교육론 간의 통약 가능성 탐구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Compatibility of Educational Theories of Rousseau and Dewey
발행기관
한국교육철학회
저자명
김영희(Young Hee Kim)
간행물 정보
『교육철학』제42권 제4호, 121~14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듀이와 루소 교육론의 통약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듀이는 자신의 저작들에서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을 본성에 의해 저절로 개화되는 교육으로 이해하며,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있다. 먼저 듀이는 경험에서 결과를 예측하고 고려할 수 있는 사고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루소의 교육론은 이러한 부분에서 지성의 사용이 경시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인간 성장 과정에서의 환경과의 상호작용 측면에 대한 논의도 루소 교육론에서 누락되어 있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 루소는 경험에서의 지성의 사용을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에밀』 속에서, 경험 앞서 항상 결과를 예측해야 할 것을 학생에게 가르쳐야 함을 강조하는 데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또한, 루소는 감각 이성과 지적 이성의 유기적인 발달 과정을 고려함으로써, 학생의 지성적 발달을 충실히 고려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듀이는 학생에게 유의미한 성장 경험으로 이끌기 위해 무엇보다도, 교사가 학생 경험의 방향에 대해 기민하게 예측하고 판단하여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 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루소 역시 『에밀』 전체에 걸쳐, 에밀의 유의미한 교육적 성장을 위해, 교사는 세심하게 에밀을 관찰하고 직간접적으로 안내하고 있고, 에밀의 지적·도덕적 성장에 적합한 경험의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듀이가 오해했던 것과 달리, 듀이와 루소 교육론의 중요한 측면들에서 통약 가능한 부분들이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ompatibility of the educational theories of Dewey and Rousseau. In his works, Dewey understands Rousseau's naturalistic education as one that unfolds naturally through innate tendencies, while pointing out its shortcomings. First, Dewe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intervention of thought in predicting and considering outcomes in experiences, noting that Rousseau's educational theory undervalues the use of intellect in this regard. He also criticizes Rousseau for lacking a discussion on the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human growth.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Rousseau does emphasize the use of intellect in experience. This is clearly illustrated in Emile, where he stresses the need for students to learn to predict outcomes before experiences. Furthermore, by considering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sensory and intellectual reasoning, it appears that he thoroughly takes into account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students. Secondly, Dewey argues that in order to guide students toward meaningful growth experiences, teachers must be perceptive in predicting and judging the direction of student experiences and lead them in a positive direction. Similarly, throughout Emile, Rousseau emphasizes that for Emile's meaningful educational growth, teachers should carefully observe him and provide both direct and indirect guidance, striving to lead him toward experiences that are suitable for his intellectual and moral development. In conclusion, contrary to Dewey's misunderstandings, significant compatible aspects of the educational theories of Dewey and Rousseau are clearly evident.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듀이의 루소 교육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Ⅲ. 듀이와 루소 교육론의 통약 가능성 검토
Ⅳ.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희(Young Hee Kim). (2024).루소와 듀이 교육론 간의 통약 가능성 탐구. 교육철학, 42 (4), 121-143

MLA

김영희(Young Hee Kim). "루소와 듀이 교육론 간의 통약 가능성 탐구." 교육철학, 42.4(2024): 121-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