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웨딩박람회에 대한 문화사적 연구 : 웨딩박람회의 등장과 역할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ultural History of Domestic Wedding Fairs: Focusing on the Appearance and Role Changes of Wedding Fairs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오윤정(Yunjeong Oh)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제36집 4호, 60~88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웨딩박람회의 한국에서의 등장과 역할의 변화에 주목하여 국내 웨딩박람회의문화사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신문자료와 웨딩박람회 주최자와의 면담을활용하여 국내 웨딩박람회의 변화 과정을 검토하고 결혼예정자의 방문일지를 통해 결혼 준비과정에서의 웨딩박람회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박람회는 일정 기간 동안 특정 장소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생산된 신제품이나 아이디어 상품, 혹은 희귀품을 방문객을 상대로 전시하거나 설명하는 대형 전시를의미한다. 여러 형태의 박람회 중에서 결혼식 준비를 향한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웨딩박람회는 실물 상품 전시와 판매가 아니라 웨딩플래너와의 계약 성사, 즉 대행업으로의 인도가 주된 목적이라는 점에서 여타의 산업박람회와는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초기 웨딩박람회는 여타의 산업박람회와 마찬가지로 상품 전시와 판매를 위주로 하였으나현재는 결혼 준비 대행업과의 계약 성사를 위한 장소가 되었다. 웨딩산업의 성장으로 상품 비교와 선택의 어려움, 결혼 준비를 해 줄 가족 인력의 부재, 결혼 당사자의 시간 운용의 어려움, 웨딩산업 상권 이동에 의한 매장 접근 방법의 변화 등이 원인이 되어 웨딩박람회는 결혼상품의 전시가 아니라 웨딩플래너 알선에 주력하게 되었다. 예비부부들은 웨딩박람회에서 그들이 기대했던 결혼 상품을 관람하지 못하더라도 웨딩플래너를 만나면서 결혼 준비 과정에대한 도움을 받고 본격적인 결혼 준비에 들어선다는 안도감을 느낀다. 이러한 안도감으로 웨딩박람회 방문은 결혼 준비 시작의 관문이 된다.
상품 전시가 아닌 결혼 준비 대행 인력 알선이 중심이 된 국내 웨딩박람회의 모습은 결혼준비 대행업이 한국의 웨딩산업 구조에서 갖는 지배적 위치와 개별 소비자는 그 구조 속에서결혼을 준비할 수밖에 없는 한국 웨딩산업의 일면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ultural history of domestic wedding fairs by paying attention to the appearance and role changes in wedding fairs in Korea. With the purpose, I reviewed the process of changes in domestic wedding fairs using newspaper data and interviews with the organizer of the wedding fair. Additionally, I examined the role of wedding fairs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marriage through the visits’ logs, who are prospected to wed.
In general, a fair or an expo refers to a large exhibition that displays or explains to visitors new products, idea products, or rare products produced based on excellent technology in a specific pla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edding fair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first step toward preparing for a wedding among the various types of fairs, have a different character from other industrial fairs in that their main purpose is not to display and sell real products, but to sign a contract with a wedding planner, that is, to deliver them to an agency.
In the early days, wedding fairs, like other industrial fairs, focused on product exhibitions and sales, but now they are a venue for signing contracts with agencies. The reason for this change in the nature of the wedding fair can be at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marriage industry, the difficulty of choosing, the change in the subject of marriage preparation and changes in the approach of stores due to the movement of the wedding industry. As a result, the wedding fair has become a place for exhibiting and selling the labor force of an agency that replaces the purchase of various contracts and products necessary for marriage in general instead of exhibiting and selling wedding product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haracter and role of this wedding fair can be said to be an area that shows a changing aspect of Korean society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marriage and weddings.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웨딩박람회의 시초와 초기 모습
Ⅲ. 결혼 준비 대행업과의 결합
Ⅳ. 업체를 통해 본 웨딩박람회
Ⅴ. “예약”을 위한 “예약”과 “계약”: 예비부부의 웨딩박람회 체험기
Ⅵ. 나오는 글: 웨딩박람회의 사회문화적 의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코로나19 시대’의 결혼식 :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서의 결혼 준비와 진행에 관한 사례연구
- 국내 웨딩박람회에 대한 문화사적 연구 : 웨딩박람회의 등장과 역할의 변화를 중심으로
- 중년기 남성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자기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