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천 식파정(息波亭) 제영시 고찰 - 『식파정시문집(息波亭詩文集)』 원전 검토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Examination of the Tribute Poems Dedicated to Sipajeong in Jinchun : Focusing on the “Sipajeong Poetry Collection”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김미선(Mi-seon Kim)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101호, 255~28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진천 식파정(息波亭) 제영시를 『식파정시문집(息波亭詩文集)』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식파정은 1587년(선조 20) 진천에서 태어난 이득곤(李得坤)의 호이며 그의 정자 이름이다. 이득곤이 당시의 당쟁으로 어둡고 탁한 세상이 싫어서 벼슬에 나가지 않고 학문을 벗 삼아 정자를 짓고 자신의 호를 따서 식파정이라 이름하였다. 이곳에 여러 문인 학자들과 교유하며 남긴 제영시가 후손 이완석의 필사본 『식파정시문집』으로 전해져서 귀중한 자료로발굴되었다. 정혁(鄭爀), 추국당거사(秋菊堂居士), 김득신(金得臣), 정재경(鄭在褧) 등의 「기문」7편, 민관식의 「식파정중건기」1편, 후손 이기직(李起直), 이익수(李益洙)의 「식파정중건서」1편, 후손 이인환(李仁煥)의 「식파정중수기」1편, 진천 현감 김계영의 「상량문」1편, 최명길, 채익선, 김득신, 이시발, 송시열 등이 지은 오언시 32수, 정재경, 정혁, 유경, 이재 등이 남긴 칠언시 86수, 식파정 팔경시(八景詩), 시문집을 필사한 이완석의 「후기」1편 등으로 총 139편이 실려 있다. 먼저, 이완석의 필사본 『식파정시문집』을 연구자료로 검토하며 발견된 오기(誤記)를 정리하여 정오표를 제시하였다. <표 1> 산문작품 원문 정오표에서는 김득신, 정재경, 정해우의 「기문」, 김계영의 「상량문」에서 12군데를 정리하였다. <표 2> 오언시 원문 정오표에서는 최상국, 변효민의 제영시 2군데를 찾을 수 있었다. <표 3> 칠언시 원문 정오표에서는 정재경 작품을 비롯해 16군데의 오기를 표로 제시해 두었다. 이를 토대로 식파정 제영시의 창작 배경을 여러 기문에서 상세히 고찰할 수 있었다. ‘식파(息波)’의 이름과 ‘관란(觀瀾)’의 뜻이 심법은 하나로 같다는 식파정 제영시 창작 배경을 찾을 수 있었다. 진천에 식파정 이외 16개의 누정이 있고 지역 출신의 학행이 높은 시인 묵객이 교유한 내용을 작품 속 제영시에서 고찰하였다. 식파에서 모든 것을 내려놓고 쉬어지게 하는 선비의 고결함 마음이 크게 울려옴에 공감하기 충분하였다. 식파정 팔경 제영시에서는 식파정 팔경을 무릉도원과 무이산에 비유하였음을 남겨진 시문 속에서 온전히 찾아볼 수 있었다. 식파정은 지역의 자기 수양을 일삼는 은사에게 안식처였던 그 위상이 저절로 문집 속에 드러남을 고찰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aim to examine the poetic compositions dedicated to Sipajeong in the “Sipajeong Poetry Collection”, which is associated with Jinchun. Historically, pavilions have often been erected in scenic areas, and scholars visiting these pavilions naturally enjoyed composing poems in tribute to them. As the saying goes, “living in Jinchun” signifies a place suitable for settlement. Consequently, Jinchun has produced numerous scholars, and the literary works they left behind are substantial. Jinchun is home to a diverse array of figures and cultural heritage. Notable individuals include Lee Deuk-gon, Kim Deok-soong, Nam Ji, Song Guk-cheom, Shin Jab, Lee Si-bal, Lee Ha-gon, Jeong Cheol, Chae Ji-hong, and Choi Seok-jeong, all of whom settled in Jinchun and laid the groundwork for its history and cultural arts. Lee Deuk-gon's ancestor, Lee Su-gwang, was granted nobility and appointed as a third-ranking official after migrating from Song China during the Goryeo Dynasty under King Munjong. Following this, his descendants established a clan village in Dugyeon-ri, Jinchun County. The Yangseong Lee clan settled in this village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of Joseon, when Lee Shin-baek, the 13th generation descendant from the founder, opened the village. Lee Deuk-gon was born in Jinchun in 1587 (20th year of King Seonjo) as the 16th generation descendant of the Yangseong Lee clan. He was posthumously awarded the title of Minister of Personnel, with the courtesy name Deok-hu and the pen name Sipajeong. He had a deep appreciation for learning and interacted with various scholars, attracting many to seek his guidance as his reputation grew. Although he was frequently encouraged to pursue an official career, he chose to distance himself from the tumultuous political strife of the Gwanghaegun era. Instead, he built a pavilion in his hometown, dedicating himself to scholarship and nurturing future generations, thus founding “Sipajeong”. At Sipajeong, Lee Deuk-gon fostered friendships with numerous literary figures through his poetry and scholarship. The pavilion houses a variety of writings, including the inscription of the pavilion's construction and several poems dedicated to it by various poets. The “Sipajeong Poetry Collection” remains as a compilation of poems related to Sipajeong, allowing for an exploration of the tributes paid to the pavilion during that era. The material addressed in this paper is the manuscript of the “Sipajeong Poetry Collection” by Lee Wan-seok, which serves as the primary source for this study. Prior to the translation, I reviewed the original text of this primary source, identifying errors which I organized into a table for “Version 2” of the “Sipajeong Poetry Collection” as the basis for my analysis. Drawing from this foundation, I intend to explore the context of the poetic compositions dedicated to Sipajeong and analyze the content of these poems in detail, thereby assessing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the tributes to Sipajeong.

목차

1. 문제의 제기
2. 필사본 『식파정시문집』의 원전 검토
3. 식파정 제영시의 창작 배경
4. 『식파정시문집』의 제영시 내용
5. 문제의 정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선(Mi-seon Kim). (2024).진천 식파정(息波亭) 제영시 고찰 - 『식파정시문집(息波亭詩文集)』 원전 검토를 중심으로. 동방한문학, (), 255-282

MLA

김미선(Mi-seon Kim). "진천 식파정(息波亭) 제영시 고찰 - 『식파정시문집(息波亭詩文集)』 원전 검토를 중심으로." 동방한문학, (2024): 255-2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