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살, 우울, 그리고 자살 사고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치료적 접근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tical Psychology Perspective on Suicid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erapeutic Approaches Through Sandplay Therapy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 저자명
- 정병호(Byungho Jung)
- 간행물 정보
- 『상징과 모래놀이치료』제15권 제3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 세계적으로 자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생을 마감하고 있으며 선진국의 대열에 함께 서 있다고 자부하는 대한민국 사회에서도 심각한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는 분석심리학적 이해에 기반한 모래놀이 치료가 심각한 우울증과 자살사고를 겪는 내담자들에게 치료적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우울증은 히포크라테스 시대부터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온 주제로, 자살과 밀접하게 연관된 심리적 증상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이 분야의 현재 연구와 임상적 접근은 외적 증상과 사회경제적 관점에 초점을 맞추는 데 그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반해, 분석심리학자들은 내적 세계를 탐구하는 내면적 시선을 강조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James Hillman과 David Rosen과 같은 학자들은 자살과 우울증에 대해 심오한 심리학적 통찰을 제공한다. 이들은 인간 심층 심리의 깊은 층을 다루어 기존의 자살 연구에서 종종 간과되는 측면을 확장하며, 이를 자아의 재탄생을 위한 기회로 이해하도록 제시한다. 본 연구는 풍부한 상징들과 원형들이 나타나는 모래놀이치료 사례분석을 통해 우울과 자살사고가 있는 내담자에게 어떤 치료적 도움을 주는지 고찰하였다. 안전하게 보호된 모래상자 안에서 내담자는 새로운 변화를 갈망하는 자아가 자살이라는 극단적 방법이 아닌 자아의 상징적 죽음을 통해 변화되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모래놀이치료는 제공한다. 현실에서 내담자가 자아의 전능감이 멈춰지며 겪게 되는 절망과 우울의 상태에서 헤어 나오지 못할 때 모래상자는 원형들과 만날 수 있는 무한히 열려있는 신성한 공간을 제공하며 변화와 회복으로 인도한다.
영문 초록
Globally, countless individuals end their lives through suicide, and South Korea, which prides itself on being among the ranks of advanced nations, is not exempt from this pressing social issue. This study seeks to explore whether sandplay therapy, grounded in an analytical psychological understanding, can offer therapeutic support to clients experiencing sever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studied extensively since the time of Hippocrates, remains a profound psychological symptom closely linked to suicide. However, current research and clinical approaches in this field are largely limited by their focus on external symptoms and socio-economic perspectives. In contrast, analytical psychologists advocate for an inward gaze, emphasizing the exploration of the inner world. Scholars like James Hillman and David Rosen, from this tradition, provide profound psychological insights into suicide and depression. They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se phenomena by addressing the deep layers of the human psyche that conventional suicide research often neglects, framing them as opportunities for the rebirth of the ego. This study examines case analyses of sandplay therapy, a modality rich in symbols and archetypes, to investigate its therapeutic potential for clients grappling wi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Within the safety of the sandbox, clients can explore transformative possibilities, moving away from the extreme path of literal suicide toward a symbolic death and rebirth of the ego. For clients who feel trapped i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unable to transcend the collapse of their sense of omnipotence, the sandbox offers a sacred, boundless space where they can encounter archetypes and be guided toward transformation and healing.
목차
Ⅰ. Introduction
Ⅱ. Understanding Depression and Suicide in Analytical Psychology
Ⅲ. Ego development in sandplay therapy
Ⅳ. Case study
Ⅴ. Conclusion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