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경관학습의 가치의 이론적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Value of Landscape Learning Using Photovoice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조철기(Chul-Ki Cho) 김효정(Hyojeong Kim) 송원섭(Wonseob Song)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36권 제3호, 109~12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생들이 그들의 일상생활에 재현된 다양한 경관을 탐색하는데 포토보이스가 가지는 함의를 논의한다.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경관학습에서 학생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공동체 및 장소에 재현된 경관 사진을 찍고 가장 적절한 것을 선정하며, 자신의 목소리(내러티브)를 통해 해당 사진에 대한 해석을 해야 한다. 우리는 교수 도구로써 포토보이스가 학생들에게 장소 또는 경관에 대한 표상 및 해석 능력인 메타표상 역량, 즉 비주얼 리터리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사진을 통해 경관의 재현적 요소를 목소리(내러티브)를 통해 비재 현적 지리를 창안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포토보이스는 청소년들의 일상적 경험들을 시각화할 수 있게 하고, 개인적 의미와 감성 그리고 정동을 끌어내며, 실제적이고 능동적 학습(real-life and active learning)을 촉진하고, 비 판적 의식화(critical consciousness)를 불러일으키며, 그들의 비주얼 “읽기(reading)”, “쓰기(writing)”, 그리고 “사고 (thinking)” 기능들의 관점에서 청소년의 비주얼 리터러시와 메타표상 역량을 강화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photovoice for students’ exploration of the varied landscapes depicted in their daily experiences. In landscape learning utilizing photoboards, students are tasked with capturing photographs of landscapes within their communities, selecting the most suitable images, and interpreting them through their own narrative voice. We assert that employing photovoice as an educational instrument improves students’ meta-representational competence, or visual literacy, which includes the capacity to depict and interpret a location or landscape. Furthermore, it cultivates the development of a non-representational geography via photography, enabling students to articulate their interpretations of the landscape’s representational elements through their own narratives. Photovoice allows youth to depict their daily experiences, generates personal significance, emotions, and affect; fosters experiential and active learning; stimulates critical awareness; and enhances their visual literacy and meta-representational abilities regarding visual “reading,” “writing,” and “thinking” skills.
목차
1. 서론
2. 포토보이스 방법론의 교수학적 변환
3. 장소기반 지리교육과 경관 읽기를 위한 학습
4. 포토보이스와 경관학습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제주해녀문화 관광에서의 진정성 인식과 형성 - 제주 ‘해녀의 부엌’을 사례로
- 조선시대 도로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과 사례 연구 - 양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 읍치의 여제(厲祭) 의례와 여단(厲壇)의 장소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