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탐라순력도’ 국내 연구 동향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amna Sullyeokdo’ Research Trend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박동필(Dongpill Park) 양지혜(JiHye Yang)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36권 제3호, 59~7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탐라순력도를 주제로 이루어진 선행연구의 연구동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 으로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로부터 검색된 ‘탐라순력도’ 관련 학술지 논문 41편 및 학위논문 7편 등 48편과 제주 시와 탐라순력도연구회가 함께 발간한 탐라순력도연구논총에 게재된 27편의 연구 등 총 75편을 연구를 활용 하였다. 연구동향 분석 방법론으로는 개별 연구에서 추출된 키워드의 출현빈도와 동시출현빈도를 토대로 키워 드의 중요성과 키워드 간의 관계성을 규명하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75편의 연구로부 터 총 185종 302개의 키워드가 추출되었다. 185종의 키워드 중에서 ‘탐라순력도’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형상’, ‘탐라십경도’, ‘기생’, ‘실경산수화’ 등의 출현빈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심성 분석 결과 ‘탐라순 력도’의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이 가장 높았으며 ‘이형상’, ‘기생’, ‘탐라십경도’, ‘제주교방’ 등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매개중심성은 ‘탐라순력도’, ‘실경산수화’, ‘고지도’, ‘무용’, ‘이형상’이 상위 5위에 해당하였다. 본 연 구는 이제까지 이루어져 온 탐라순력도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성과를 학문분야와 내용별로 구분하여 파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각 연구의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탐라순력도 관련 연구들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져 온 내용과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키워드에 대한 학문적 관심의 정도와 함께 키워드 간의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of previous studies on the topic of Tamna Sullyeokdo using 75 studies. Keyword network analysis, a methodology that identifies the importance of keywords and relationships between keywords based o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nd co-occurrence of keywords extracted from each study was used as a methodology fo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ly occurrence keyword was ‘Tamna Sullyeokdo’ was the highest, and the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were also highest.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providing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overall achievements of prior studies on ‘Tamna Sullyeokdo’ in various academic fields and content categories. Additionally, the utilization of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research keywords allowed for an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and structure that has been prominently addressed in studies related to ‘Tamna Sullyeokdo’. The individual importance of research keyword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were also identified. On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the inability to analyze the entire body of research related to ‘Tamna Sullyeokdo’, resulting in the omission of trends in excluded studies and the inability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all studies.

목차

1. 머리말
2. 연구 방법 및 절차
3. 연구 결과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동필(Dongpill Park),양지혜(JiHye Yang). (2024).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탐라순력도’ 국내 연구 동향. 문화역사지리, 36 (3), 59-73

MLA

박동필(Dongpill Park),양지혜(JiHye Yang).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탐라순력도’ 국내 연구 동향." 문화역사지리, 36.3(2024): 59-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