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산정의 기초가 되는 ‘발명을 실시할 수 없었던 기간’의 의미와 구체적인 산정방법
이용수 2
- 영문명
- The meaning and specific calculation of “the period during which the invention could not be utilized” as a basis for calculating patent term extensio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신혜은(Hye Eun Shin)
- 간행물 정보
- 『과학기술과 법』제15권 제2호, 31~6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Efficacy and safety tests are required for the approval of pharmaceutical products, which often result in a shorter patent term compared to other technologies. To solve this problem, a system was introduced to extend the duration of patent rights for the period during which the invention could not be utilized.
This paper examines how to interpret the current law on the extension of patent terms due to regulatory approval in a way that aligns with Korea’s industrial realities and maintains international consistency.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clinical trials conducted in foreign countries are included in the “period during which the invention could not be utilized for approval, etc.” if they are conducted “for domestic approval.” Furthermore, it was clarified that the supplementary period caused by the non-submission of data during the drug approval process cannot be presumed to be due to the patentee's responsibility. Unlike “the period of delay caused by the applicant,” “the period of delay caused by the patent holder” cannot be determined through specific examples alone. Instead, it is necessary to assess whether a given delay constitutes “the period of delay caused by the patent holder” based on the specific facts of each case.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외국사례의 검토
Ⅲ. 발명을 실시할 수 없었던 기간
Ⅳ. 특허권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인해 소요된 기간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프트웨어의 비어문적 요소의 저작물성과 입증책임 - CAFC SAS Institute v. World Programming Limited 사건을 중심으로
- 과학기술과 법 제15권 제2호 목차
- 예측치안에 대한 법적 규율 - 인공지능 위험평가에 기반한 예측치안 기술의 도입현황과 입법과제
- 인공지능과 관련한 민사법적 책임관계 - 운송수단을 중심으로
- 허가 등에 따른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Patent Term Extension) 제도 개정안에 대한 더 나은 개정안
-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산정의 기초가 되는 ‘발명을 실시할 수 없었던 기간’의 의미와 구체적인 산정방법
- 생명윤리법의 DTC 유전자검사 허용 추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질병과 웰니스 항목의 불명확한 법적 구분과 그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