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게임물 등급분류의 단계적 민간이양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43
- 영문명
- A Study on the Gradual Delegation of Game Rating Classification to Private Entities
- 발행기관
- 한국문화경제학회
- 저자명
- 백석원(Sukwon Baek) 배관표(Kwanpyo Bae) 김영지(Youngji Kim) 윤정아(Jeong-ah Yun)
- 간행물 정보
- 『문화경제연구』제27권 제3호, 247~27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게임물 등급분류 제도는 지속적인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표현물 규제의핵심 장치로 기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게임물 등급분류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다양한 대안과 경로를 비교 검토하여 최적의 정책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현행 게임물 등급분류 제도는 혼합형 체계의 한계로 인해 경직되고 일관성없는 기준, 복잡한 절차, 심의위원의 전문성 부족, 중복 규제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음이확인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기존 정부 발표안을 일부 수정하여3단계에 걸쳐 게임물 등급분류 권한의 민간이양을 제안한다. 1단계에서는 모바일 및청소년이용불가 게임물을 민간등급분류기관에 위탁하고, 2단계에서는 자체등급분류사업자에게 청소년이용불가 등급분류 권한을 부여하며, 3단계에서는 등급분류 기준 설정 및분류 업무를 자체등급분류사업자 및 협·단체의 자율에 맡기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게임물관리위원회의 역할 강화, 민간등급분류기관의 역량 확보 등 후속조치 필요 사항도함께 제안한다. 성공적인 민간이양은 게임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 게임 이용자의 권익보호, 정부 기능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issues within the current game rating classification system and examines various alternatives and pathways to propose an optimal policy direction. The findings reveal several limitations stemming from the hybrid structure of the current system, including rigid and inconsistent criteria, complex procedures, a lack of expertise among rating committee members, and overlapping regulations.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suggests a three-phase transition plan for delegating game rating classification authority to private entities, modifying the existing government proposal. Phase 1 involves delegating the classification of mobile games and adult-only games to private classification agencies. Phase 2 expands the authority of self-classification operators to include adult-only games. Phase 3 transfers the establishment of classification criteria and rating tasks to self-classification operators and associations. Additionally, the study proposes supplementary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Game Rating and Administration Committee and enhancing the capacity of private classification agencies.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is transit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game industry, the protection of user rights, and the improve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선행연구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콘텐츠산업 서비스 수출 경쟁력 분석
- 중국 드라마 굿즈의 소비가치가 중국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굿즈 종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Identity and Art Consumption through a Micro-Sociological Lens : An Ethnographic Study of Urban Yuppies in Dongshankou, China
- AHP방법론을 활용한 미술품 판매경로의 선택요인에 대한 중요도 연구 : 미술작가의 관점으로
- 1990년대 중국 인디음악의 ‘둥지 형성’ - ‘슈춘(樹村)’의 형성과 해체를 중심으로
- 2023 프리즈와 키아프 서울 아트페어를 방문한 중국계 아트 컬렉터의 수집 동기와 취향 연구
- 버라헌장과 국제유산담론의 공진화 - 1979년~2013년 개정 과정을 중심으로
- 여가만족과 행복의 관계에서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조절효과 - 맞춤형 여가정책의 필요성
- 게임물 등급분류의 단계적 민간이양 방안에 관한 연구
- 문화다양성 고취를 위한 초등 4학년 대상의 다문화 음악교육 실행연구(Action research) - 서울 A초등학교의 오르프 교수법을 매개로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