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다양성 고취를 위한 초등 4학년 대상의 다문화 음악교육 실행연구(Action research) - 서울 A초등학교의 오르프 교수법을 매개로

이용수 35

영문명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for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o Promote Cultural Diversity(Action research)
발행기관
한국문화경제학회
저자명
강명신(Myeong-shin Kang) 안지언(Ji-Un An)
간행물 정보
『문화경제연구』제27권 제3호, 223~24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다원화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이 서로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포용성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문화다양성 고취를 위한 다문화 음악수업 프로그램을 설계ㆍ 적용하여 통합적인 음악교육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다문화 음악교육의 하나의 사례로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로 서울시 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 학생 24명(남 12명 여 12명) 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베이스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23년 3월부터 12월까지 총 9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다문화 수용성 증진을 위해 12차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비정형화된 질문지, 학습 결과물, 수업 소감문, 교사의 관찰일지, 학생 면담자료 등을 통해질적 연구 방식으로 수집하여 유의미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다문화 교육의 일환인 문화 수용성 하위요소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이 신장이 되었고 다양한 음악 활동 중심으로 감각적인 경험을 통해 문화다양성을 고취 시킬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통합적인 음악교육활동을 기반으로 하는다문화 음악수업이 다문화 수용성 신장에 긍정적 변화와 문화다양성이 확대되는 현상을 포착할 수 있었다. 2022개정교육과정 총론에서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사람’으로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 교육이 실제 어떻게 적용되고 수행해야 할지 방향성을제시하고 다문화 현장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문화다양성 교육의 중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apply a multicultural music class program to promote cultural diversity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ho will live in the era of diversity and present it as an exampl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based on integrated music education activities. Methods: As a qualitative study, this study conducted project-based classes for 24 students (12 males and 12 females) in a class in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it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9 months from March to December 23. To improve cultural diversity 12 classes were conducted, and significant chang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unstructured questionnaires, teachers’ observation diaries, impressions, and interviews. Results: Through multicultural music classes, ‘diversity,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sub-elements of cultural diversity, were enhanced, and cultural diversity could be enhanced through sensory experiences centered on various music activities. Conclusion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eneral outline, we present the direction of how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applied and carried out in the school field as “a leading person with inclusivity and creativity” and propose the importance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long with the need for multicultural field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명신(Myeong-shin Kang),안지언(Ji-Un An). (2024).문화다양성 고취를 위한 초등 4학년 대상의 다문화 음악교육 실행연구(Action research) - 서울 A초등학교의 오르프 교수법을 매개로. 문화경제연구, 27 (3), 223-246

MLA

강명신(Myeong-shin Kang),안지언(Ji-Un An). "문화다양성 고취를 위한 초등 4학년 대상의 다문화 음악교육 실행연구(Action research) - 서울 A초등학교의 오르프 교수법을 매개로." 문화경제연구, 27.3(2024): 223-2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