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가만족과 행복의 관계에서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조절효과 - 맞춤형 여가정책의 필요성

이용수 12

영문명
Moderating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 The Necessity of Customized Leisure Policies
발행기관
한국문화경제학회
저자명
윤지연(Jiyeon Yoon) 문현(Hyun Moon) 윤선(Sun Yun) 박선웅(Sun W. Park)
간행물 정보
『문화경제연구』제27권 제3호, 203~22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가만족과 행복의 관계를 확인하고, 해당 관계에서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22 국민여가활동조사>에서 전국 20세 이상 성인 총 9,55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여가만족을 독립변인, 행복을 종속변인, 인구사회학적 요인(연령, 성별, 교육수준, 가구소득)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조절변인별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을 제외하고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이 여가만족과 행복의 관계를유의하게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연령은 높을수록,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은 낮을수록여가만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가만족과 행복의 관계를 탐색한 기존 연구들에서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주로 통제변인으로 활용했던 것과 달리, 인구사회학적 변인의 영향력을 직접 확인했다는 차별점을 지니며, 생애주기별·계층별 맞춤형 여가정책을 수립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in this relationship. To achieve this, data from a total of 9,559 adults aged 20 and over, collected from the 2022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were utilized. Leisure satisfaction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happiness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demographic factors (age, gender,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as moderating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moderating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Specifically, as age increased, and as education and income levels de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became stronger.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primarily treated demographic factors as control variables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is study directl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s of demographic factors, providing scientific evidence for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ailored leisure policies based on life cycle and social cla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지연(Jiyeon Yoon),문현(Hyun Moon),윤선(Sun Yun),박선웅(Sun W. Park). (2024).여가만족과 행복의 관계에서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조절효과 - 맞춤형 여가정책의 필요성. 문화경제연구, 27 (3), 203-222

MLA

윤지연(Jiyeon Yoon),문현(Hyun Moon),윤선(Sun Yun),박선웅(Sun W. Park). "여가만족과 행복의 관계에서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조절효과 - 맞춤형 여가정책의 필요성." 문화경제연구, 27.3(2024): 203-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