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레이 올덴버그의 제3의 공간 이론에 의한 도시 문화 공간 사례 분석 : 춘천시 '도시가 살롱' 사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Urban Cultural Spaces through Ray Oldenburg's Third Place Theory : Focused on the 'City as Salon' Project in Chuncheon Cultural City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김기창(Kee-Chang Kim) 박종은(Jong-Eun Park) 김선영(Sun-You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8권 제6호, 489~52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춘천 문화도시 사업의 '도시가 살롱'을 올덴버그(Ray Oldenburg)의 '제3의 공간'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공간의 특성과 효과를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내용분석을 채택하여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정책문서, 운영자료, 성과보고서 등을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접근성’ 측면에서, '도시가 살롱'은 카페, 책방, 식당 등 시민들의 일상공간을 문화공간으로 전환함으로써 접근성을 확보하여 생활권 내 문화접근성을 향상시켰다. 둘째, ‘편의성’ 측면에서, 복합공간 구성과 통합 플랫폼 운영을 통해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실현했으며, 멤버십 시스템과 월 60여 개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이용 편의성을 높였다. 셋째, ‘평등성’ 측면에서 세대 통합형 프로그램, 수평적 공간구조, 'ON-다' 프로그램 등을 통해 읍면 지역의 문화 격차 해소에 기여했다. 넷째, ‘상호작용성’ 측면에서 시민기획자 중심의 운영으로 이웃 간 관계망을 강화했고, '동네지식인'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교류를 촉진했다. 다섯째, ‘유희성’ 측면에서, '딴짓' 키워드를 활용한 창의적 접근으로 유희성을 구현했으며, 여섯째, ‘다양성’ 측면에서, 8개 거점 공간의 차별화된 운영과 지역특화 프로그램으로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했다. 그러나 읍면 지역의 접근성 강화,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편의시설 확충, 문화적 소수자들의 참여 확대,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형성, 디지털 전환 대응 그리고 민간의 주도적 운영이라는 과제가 도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Chuncheon's 'City Salon' project through Oldenburg's Third Place theory. The research us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policy documents and operational reports. In terms of accessibility, the project transformed everyday venues like cafes and bookstores into cultural spaces within residential areas. For convenience, it established an integrated platform with a membership system offering 60 monthly programs. The project promoted equality by addressing cultural disparities through intergenerational programs and the 'ON-da' initiative. Community interactivity was enhanced through citizen-led planning and the 'Neighborhood Expert' program, while playfulness was incorporated through creative 'Distraction' activities. The project achieved diversity through eight distinct hub spaces with specialized local programming. Despite these successes, challenges remain in areas such as rural accessibility,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elderly, minority participation, community sustainability, digital adaptation, and private sector eng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분석
Ⅳ. 소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창(Kee-Chang Kim),박종은(Jong-Eun Park),김선영(Sun-Young Kim). (2024).레이 올덴버그의 제3의 공간 이론에 의한 도시 문화 공간 사례 분석 : 춘천시 '도시가 살롱'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사회, 8 (6), 489-524

MLA

김기창(Kee-Chang Kim),박종은(Jong-Eun Park),김선영(Sun-Young Kim). "레이 올덴버그의 제3의 공간 이론에 의한 도시 문화 공간 사례 분석 : 춘천시 '도시가 살롱'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사회, 8.6(2024): 489-5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