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글로벌 해운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고찰
이용수 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해양교통학회
- 저자명
- 류영현
- 간행물 정보
- 『한국해양교통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24년도 추계학술대회, 17~21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해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27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구온난화의 원인 중에 한가지로 온실가스 배출이 있다. 최근,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인류는 폭염, 홍수 등 이상기후 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글로벌 해운 분야에서도 온실가스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이산화탄소를 감소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하여 EEDI (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신조선 에너지 효율 설계 지수), SEEMP (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 선박 에너지 효율 관리 계획서), EEXI (Energy Efficiency eXisting ship Index, 현존선 에너지 효율 지수), 탄소집약도 지수 (CII; Carbon Intensity Indicator) 등의 규제를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더불어, 2023년에 개최되었던 IMO MPEC 80차 회의에서 2050년까지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Net-zero가 결정되었다. 이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던지, 또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이산화탄소의 실질적인 배출량을 ‘0(Zero)’으로 탄소중립을 만족해야 항해가 가능하다. 글로벌 해운의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하여 암모니아, 수소 등의 무탄소 연료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탄소중립연료(E-Fuel)와 바이오연료, OCC(Onboard Carbon Capture, 선상 이산화탄소 회수 장치) 등의 개발·생산·보급 정책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대응 기술들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해양교통학회 2024년도 추계학술대회 목차
- 해상교통관련 해사안전 동향과 기술전략
- 해상 표류자 대상 확대정방형수색 기법 탐지 가능성 비교 연구
- 항적데이터를 활용한 경험 기반 로드맵 개발에 관한 연구
- 수상레저활성화를 위한 수상레저기구 운항 및 금지 구역에 대한 연구
- 타원형 선박안전영역과 충돌위험지수를 이용한 속도-장애물 기법 기반 충돌회피
- 글로벌 해운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고찰
- 해상풍력단지와 선박의 통항안전 모델 제안
- 아시아 크루즈 산업의 전망 분석
- 수로정보 객체 내 선박 안전 공간 매핑 및 샘플링 탐색 기반의 항로 생성
- 선박 경로 탐색 활용을 위한 해황 정보 데이터 공간 보간
- 실제 선박 충돌사례 분석을 통한 자율운항선박 충돌회피 테스팅 시나리오 구현
- 야간조업 소형선박 분포 감시를 위한 데이터융합 감시시스템 구축 연구
- 암모니아 추진선박의 벙커링 시 위험성평가를 통한 항만 별 안전구역 설정에 관한 연구
- 항로 통항 분석을 통한 목포항로 실제 위험도 분석 및 비교
- Net Zero 2050 Roadmap과 원자력 추진선박의 도입 필요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