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놀이중심보육과정 실천역량에 따른 창의적 교수역량의 차이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Creative teaching competency based on play-centered childcare course practice competency study of differences
- 발행기관
- 한국창의인성학회
- 저자명
- 김경은(Kyung-Eun Kim) 윤미승(Mi-Seung Yun) 윤정진(Jeong-Jin Youn)
- 간행물 정보
- 『교육과 문화』제6권 제2호, 126~141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놀이중심보육과정 실천역량에 따라 교사의 창의적 교수역량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충남 지역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교사를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놀이중심보육과정 실천역량에 따라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놀이지원역량의 특성별로 놀이지원유능 집단, 놀이지원미비 집단, 놀이성찰필요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의 학력 및 경력별 차이와 집단별 창의적 교수역량을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첫째. 경력에 따른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고경력 집단에서는 놀이지원유능 집단의 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모든 집단에서 놀이성찰필요 집단이 존재한다는 결과를 통해 경력과 무관하게 보육교사들의 놀이성찰에 대한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를 위한 놀이성찰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사교육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둘째, 세 집단의 창의적 교수역량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놀이지원유능 집단이 가장 높은 창의적 교수역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놀이중심의 보육과정을 실천하는 역량에 주요한 능력인 놀이지원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역량을 증진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childcare teachers’competency in implementing play-centered childcare cours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34 daycare teachers located in Seoul, the metropolitan area, and South Chungcheong region. Group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level of childcare teachers’ competency in practicing the play-centered childcare process. In order words, it was composed of a group capable of supporting play, a group lacking play support, and a group requiring play reflection, and differences i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perience, as well as differences in creative teaching capabilities across the group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but differences according to experience did appear. In other words, play support ability was most prevalent in the high-experience group.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showed that play reflection was necessary for all groups, suggesting that teacher education on play reflection should be provided for child care teachers regardless of experience. Next, the creative teaching capacity of each group was found to be highest in the play support ability group.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teachers' creative teaching capabilities must be cultivated to improve play support 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 문화 제6권 제2호 목차
- 영아교사 교육으로서의 RIE 접근법 이해: 은유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 함양을 위한 요구분석
- 중학생 또래 관계에서 소셜미디어 이용 의미와 교육적 함의 탐색
- 특수교사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 인문·사회계열 전공에서의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평가 방안 고찰 : 루브릭 평가 중심으로
- 신중년의 발달과업 재개념화를 위한 예비적 탐색: 포커스 그룹 토론(FGD)을 중심으로
- 서비스러닝 기반 활동이 예비 유아교사의 교수기술 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경험
- 부모의 학교참여와 아동의 학교적응 관계에서 아동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 놀이중심보육과정 실천역량에 따른 창의적 교수역량의 차이에 관한 연구
- 중국인 박사과정 유학생의 한국 유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초등학교 고학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사의 미래교육역량 진단지표 개발 및 타당화
- 교사 교육과정 공동체성 지원 체계 탐색:IB 중등프로그램(MYP) 국내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 교원양성기관 평가・인증제 도입의 필요성 및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