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80년대 교육민주화운동과 교육매체의 이념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ducation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Ideology of Educational Media in the 1980s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명수현(Suhyun Myung) 강다연(Dayeon Kang) 이순욱(Soonwook Lee)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3호, 371~416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1980년대 교육민주화운동의 성격과 특징을 밝히고, 그 과정에서간행된 교육 잡지매체에 나타난 교육운동의 내적 논리와 담론을 고찰하는 데목적을 두었다. 1970년대를 기점으로 파울로 프레이리를 위시한 민중교육담론이 한국 사회에 활발하게 수용되었다. 노동자, 농민 등 피압박 민중의 의식화를 뜻하던 민중교육론은 1980년대에 이르러 학교 현장에서 학생과 학부모, 교사를 중심으로 한 교육의 민주화라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당시 교육 현장에서는 한국의 교육 현실을 우리의 자생적인 이론과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요구가 활발히 제기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춰 등장한 매체가 바로 『교육현장』과 『민중교육』이다. 그러나 곧바로 ‘『민중교육』 사건’이 발생하며 관련 교사들이 거센 탄압을 받았다. 이후 해직교사들을 중심으로 민주교육실천협의회가 결성되었으며, 기관지 『교육과 실천』이 발간되었다. 현장성과 지속성을 갖춘 교육운동의 방향성을 담지한 매체 기반으로 기능했다. 1987년 6월항쟁 이후 교육운동 역시 대중운동으로 확대되었다. 이 시기 발행된 교육 무크지 『민족과 교육』, 『민중교육』 2, 『교육현장』 2 등은 교육운동의 대중조직화를 적극적으로 견인하는 전략적 무기로 기능했다. 1980년대 발간된 교육 잡지매체는 1989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결성과 기관지 『우리교육』의 창간에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면서 교육운동의 이론적 기반과 지향점을 마련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democratization movement that actively emerged in the 1980s, and to examine the internal logic and discourses of the education movement by analyzing various educational media published as a means of the movement. Beginning in the 1970s, the popular education discourse led by Paulo Freire was actively accepted in Korean society. The concept of popular education, which meant raising the consciousness of oppressed people such as workers and farmers, was concretized in the mid-1980s as the concept of democratization of education centered on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in schools. At the time, there was active demand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Korean education from our own theories and perspectives. The publications Educational Scene and People’s Education emerged in line with this demand. However, the “People’s Education incident” occurred immediately; and the teachers involved were severely suppressed. Subsequently, Democratic Education Practice Council was formed; and its journal Education and Practice was launched and published six times, playing the role of an educational medium. With the achievements of the June Struggle in 1987, enthusiasm for democratization swept society as a whole. The education movement camp also published various magazines in search of new directions for the movement, such as The Nation and Education, People’s Education 2, and Educational Scene 2. These media played a role in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direction of the education movement until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was formed in 1989 and its journal, Our Education, was launched. Thus, magazines became the core media foundation of the education movement throughout the 1980s.
목차
1. 들어가며: 1980년대 교육운동과 무크 발간
2. 교사의 자기인식 변화와 교육민주화: 『교육현장』과 『민중교육』
3. 민주교육실천협의회의 결성과 교육개혁운동의 전면화: 『교육과 실천』
4. 교육운동의 대중조직화와 참교육을 향한 도정: 『민족과 교육』의 창간과 『민중교육』, 『교육현장』의 복간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시대 땅과 공간의 풍수 환경에 관한 연구 - 공주대학교 신관 캠퍼스를 중심으로
- 〈전등사 나부상(裸婦像)〉 전설과 단막드라마 〈전등사〉의 비교 분석
- 1980년대 교육민주화운동과 교육매체의 이념
- [논평] 제도권 학문공동체에서 드러난 언어의 빈곤에 대하여 - 「한국 사이비역사학의 계보와 학문권력에의 욕망」에 대한 비판적 토론
- 미용사 직급별 업무 환경과 직무 특성 분석
- 『양택삼요』의 논리구성과 한계
- 김문집의 인상주의 비평 연구
- 생성형 AI와 인문 독서 교육의 연계 가능성 연구 - 서울형 심층 쟁점 독서·토론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 미용실 예약 서비스 사용복잡성이 이용부담감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AI 시대 땅과 공간의 풍수 환경에 관한 연구 - 공주대학교 신관 캠퍼스를 중심으로
- 〈전등사 나부상(裸婦像)〉 전설과 단막드라마 〈전등사〉의 비교 분석
- 1980년대 교육민주화운동과 교육매체의 이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