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앙교육 활성화를 위한 법적 대응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How to Revitalize Faith Education : Legal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교회법학회
- 저자명
- 음선필(Sun-pil Eum)
- 간행물 정보
- 『교회와 법』9권 2호, 229~265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국가 교육과정에 의하여 기독교를 직접 가르치거나 전하는 교육이 금지되고, 그 대신 문화상대주의와 종교다원주의에 근거한 종교학을 가르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독교 사학은 정체성에 대해 심각히 고민하게 되었고, 신앙교육을 어떻게 활성화할 것인가에 대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기독교 사학에 대한 국가권력의 통제는 궁극적으로 정교분리원칙에 반하며 종교의 자유를 침해한다. 지금까지 사법부의 태도에 따르면, 종교교육의 자유, 사학의 자유, 학부모의 자녀교육권 및 학생의 학교선택권을 우선하는 방향으로 입장을 전환하리라고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반기독교적 법률과 조례는 세상의 영향력을 강화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기독교 사학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앙교육 활성화를 위해서 기독교 사학의 자율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된다. 입법적 대응과 현실적 적응을 비롯한 모든 수단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신앙교육을 실시하려는 기독교 사학의 정체성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실적인 입법전략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상대적으로 용이한 대통령령의 개정, 조례의 제·개정을 통하여 기독교 사학의 신앙교육 활성화를 시도할 수 있다. 특히 학부모의 자녀교육권, 기독교 사학의 장의 교육과정 편성·운영권을 강화하는 입법이 필요하다. 또한 인성교육과 연계해서 또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하나로서 신앙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안학교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확장하는 것도 필요하다.
영문 초록
Today, the National Curriculum prohibits direct teaching and transmission of Christianity, and instead demands to teach religious studies based on cultural relativism and religious pluralism. Under these circumstances, Christian schools have been seriously concerned about their identity and have begun to explore various ways to revitalize faith (religious) education.
Control of state power over Christian schools ultimately violates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and violates religious freedom. So far, according to the Judiciary branch’s attitude, freedom of religious education, freedom of private schooling, parent's right to educate children, and student's right to choose school are still not given priority. Anti-Christian laws and ordinances also reduce the influence of Christian schools by reinforcing the influence of secularism.
Nevertheless, efforts must be made to strengthen the autonomy of Christian schools in order to revitalize religious education. All measures must be taken, including legislative responses and practical adaptation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identity of Christian schools that are trying to implement religious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take more realistic legislative strategies. It is possible to try to revitalize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through the relatively easy revision of presidential decrees, and the establishment and/or revision of ordinances.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for legislation to strengthen parents' right to educate their children and the right to organize and operate curricula at Christian school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character-building education and conduct religious education as one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t is also necessary to actively expand the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school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public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신앙교육 활성화의 기본방향과 고려사항
Ⅲ. 기독교 사학 자율성 관련 주요 법령
Ⅳ. 신앙교육의 내용에 부정적인 법규범
Ⅴ. 신앙교육에 도움이 될 법규범
Ⅵ. 맺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낙태 합법화 판례를 폐기한 미국 연방대법원 판결의 비교법적 함의 - 돕스 대 잭슨 여성건강기구 판결과 헌재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교회법 제정과 집행을 위한 성경의 교훈 - 정결법과 제5계명에 대한 예수의 교훈(막 7:1-23)을 중심으로
- 국회 발의 중인 낙태죄 법안에 대한 비판적 연구
- 기독교 신앙과 실정법에서 본 낙태와 안락사
- 인공임신중절과 생식기술의 생명윤리 문제 연구
- 가톨릭신앙에서 보는 안락사 문제
- 독일 68 교육혁명의 상징 오덴발트 학교의 소아성애 사태 - 독일 녹색당의 소아성애 운동의 근거로서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신앙교육 활성화를 위한 법적 대응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종교교육학연구> 30년 연구 동향 분석
- 신약성경의 “이웃”(περίοικος, πλησίον, γείτων)의 용례와 생태학적 의미로 확장된 이웃사랑의 가르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