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톨릭신앙에서 보는 안락사 문제
이용수 2
- 영문명
- Euthanasi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atholic faith
- 발행기관
- 한국교회법학회
- 저자명
- 정종휴(Jonghyu Jeong)
- 간행물 정보
- 『교회와 법』9권 2호, 128~160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가톨릭교회는 ‘유한한 생명’이 ‘무한한 생명’을 얻을 수 있도록 예수 그리스도께서 신적인 방법으로 세우신 조직이다. 가톨릭 교리는 ‘생명에 대한 분명한 긍정’이고, 그것은 바로 ‘그리스도에 대한 분명한 긍정’이다(Bendedict XVI). 가톨릭교회는 모든 형태의 안락사를 반대한다. 인간 생명은 신성하고, 안락사는 살인행위이기 때문이다. 교회는 환자에 대한 ‘지나친 지료를 거부“한다. 일정한 경우에는 진통제 사용이 장려된다.
가톨릭교회의 안락사에 대한 관심은 교황 비오 13세의 회칙 ’그리스도의 신비체‘(Mystici Corporis, 6.29. 1943)에서부터이다. 그 후 의사단체들의 요청에 따라 교황은 직접 또는 교촹청 조직의 이름으로 안락사를 반대하는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안락사에 관한 윤리적 교리의 종합은 「안락사에 관한 선언(Iura et bona)」(1980년 5월5일, 교황청 신앙교리성)과 회칙「생명의 복음(Evangelium Vitae)」(교황 요한 바오로 2세)(1995년)이라 할 수 있다.
가톨릭교회의 교리는 변함은 없으나 발전은 있다. 특히 한편으로는 의료기술의 눈부신 발달에 따라, 다른 한편으로는 안락사 정당화를 위한 합리화 논리가 보다 교묘해짐에 따라 가톨릭교회의 안락사에 대한 대응도 정교해질 수밖에 없다.
죽음의 문화가 창궐하는 오늘날 가톨릭교회는 생명 보호의 최후의 보루이다. 가톨릭교회의 대응방식이 다른 종교의 그것과 다른 것은 가톨릭교회는 신앙의 진리라는 절대적이고 불변적이고 객관적인 계시 진리의 바탕 위에 모든 것을 ‘가치의 단계’에 따라 설명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가톨릭의 안락사 반대를 비롯한 죽음의 문화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는 인류에 대한 호소력이 별로 없는 것으로 보일 때가 많은 것 같다. 왜 그런가? 그것은 가톨릭교회의 성직자/수도자/평신도들이 생명의 주인이신 하느님께서 세우신 교회의 교리대로 살지 않기 때문이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지난 60년 이상 '공의회의 정신'이라는 기치 아래 수많은 개혁이 뒤따랐고, 결과적으로 교리, 미사 전례, 신학교, 사제직, 수도생활 둥 가톨릭 문화 전체가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도 흐트러졌다. 죽음의 문화에 진정으로 항거하고 생명의 문화를 세우기 위해서는 교회의 내적인 정화, 즉 ‘교리에 대한 순수한 믿음’과 더불어 ‘신앙의 유산’의 회복이 있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Catholic Church is an organization established by Jesus Christ in a divine way so that 'finite life' can obtain 'infinite life'. The Catholic doctrine is a 'clear affirmation of life', which in turn is a 'clear affirmation of Christ' (Benedict XVI). The Catholic Church opposes all forms of euthanasia. This is because human life is sacred, and euthanasia is murder. The Church rejects over-zealous treatment of patients. In certain cases, the use of painkillers is encouraged.
The Catholic Church's interest in euthanasia stems from Pope Pius XII's encyclical ‘Mystici Corporis’(June 29, 1943). After that, at the request of medical groups, the Pope made various rejections of euthanasia, either directly or in the name of a papal organization. A synthesis of ethical doctrines on euthanasia is found in the Declaration on Euthanasia, ‘Iura et bona’ (May 5, 1980,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and the Encyclical ‘Evangelium Vitae’ (Pope John Paul II)(1995).
While the core doctrine of the Catholic Church cannot be changed, there have been advancements. With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on the one hand, and the increase in rationalizations justifying euthanasia on the other, the Catholic Church's response to euthanasia has necessarily become more sophisticated.
Today, when the culture of death is rampant, the Catholic Church is the last bastion of protection of life. However, Catholic voices opposing the culture of death, including euthanasia, often seem to have little appeal to humanity. Why? It is because the priests and the faithful of the Catholic Church do not live according to the catechism of the Church. Over the past 60 years, numerous reforms followed the banner of the “Spirit of the Council”, and as a result, almost the entirety of Catholic culture, including its doctrine, liturgy, seminaries, priesthood, and religious life, has become more disturbed than ever before in history. In order to truly and effectively resist the culture of death and establish a culture of life, there must be an internal purification of the church, that is, restoration of the 'depositum fidei.’
목차
Ⅰ. 죽이는 것도 나요, 살리는 것도 나다”(신명 32,39 참조)
Ⅱ. 가톨릭 신앙과 가톨릭교회란 어떠한 것인가?
Ⅲ. 안락사 교리
Ⅳ. 안락사를 지지하는 운동의 출발점
Ⅴ. 교회 교도권의 가르침
Ⅵ. 한국천주교주교회의의 최신 성명
Ⅶ. 맺음말에 갈음하여 - 가톨릭교회 주장의 호소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낙태 합법화 판례를 폐기한 미국 연방대법원 판결의 비교법적 함의 - 돕스 대 잭슨 여성건강기구 판결과 헌재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교회법 제정과 집행을 위한 성경의 교훈 - 정결법과 제5계명에 대한 예수의 교훈(막 7:1-23)을 중심으로
- 국회 발의 중인 낙태죄 법안에 대한 비판적 연구
- 기독교 신앙과 실정법에서 본 낙태와 안락사
- 인공임신중절과 생식기술의 생명윤리 문제 연구
- 가톨릭신앙에서 보는 안락사 문제
- 독일 68 교육혁명의 상징 오덴발트 학교의 소아성애 사태 - 독일 녹색당의 소아성애 운동의 근거로서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신앙교육 활성화를 위한 법적 대응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종교교육학연구> 30년 연구 동향 분석
- 신약성경의 “이웃”(περίοικος, πλησίον, γείτων)의 용례와 생태학적 의미로 확장된 이웃사랑의 가르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