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吉林省 楊屯 大海猛 上層 遺蹟의 年代와 埋葬 行爲
이용수 5
- 영문명
- A period and burial rites of the upper-level remains Ruins in Yangtun Dahaimeng, Jilinsheng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저자명
- 최정범(Jung-Bum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제126호, 183~20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吉林省 吉林市 龍潭區 吳拉街鎭 楊屯村에 위치한 대해맹 상층 유적은 1971년의 시굴조사와 1979·1980년의 발굴조사를 통해 청동기-부여-발해에 이르는 중층유적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상층의 발해유적은 대부분 토광묘로써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고, 다수의 유구에서 인골이 확인되어 피장자들의 매장 행위를 추론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대해맹 상층 유적은 출토된 유물의 교차연대, 유적의 층위와 유구 간 중복 관계 등으로 미루어 7세기 중반 이전부터 8세기 후반 이후까지 장기간에 걸쳐 고분군이 조성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단위 유구 내에서 복수의 피장자가 확인되어 주목되는데, 토광묘라는 유구의 특성을 염두에 둔다면 피장자의 해부학적 연속성이 유지된 1차장과 육탈 후 집골 또는 해부학적 연속성을 염두에 두고 재배치된 2차장이 동시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피력하였다.
따라서 대해맹 상층 유적의 연대와 매장 행위를 염두에 둔다면 시간적으로 고구려 말기~발해에 걸친 기간 동안 유적을 점유하던 속말말갈 집단의 문화적 성격을 추론해 보는데 또 하나의 지침이 될 수 있다는 데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upper layer site of Dahaimeng, located in Yangtun Village, Wulajie Town, Longtan District, Jilin City, Jilin Province, China, was initially excavated in 1971. Through subsequent excavations in 1979 and 1980, it was confirmed to be a middle layer site, which covers the Bronze Age, Buyeo, and Balhae,. Most importantly, Balhae remains in the upper layer are mostly earthen tombs, where various artifacts have been excavated. Human bones have been identified in many features, which greatly help us understand the burial practices of that time.
Based on the cross-dating and artifacts from the upper layer site of Dahaimeng, and the overl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ayers of the site and the features, it was determined that tumuli were built over a long period of time from before the mid-7th century to after the late 8th century.
Meanwhile, it is worth noting that multiple buried people were identified within the featur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atures as earthen tombs, it suggests that the primary burial method, which maintained the anatomical continuity of the buried people, and the secondary burial, which was rearranged with bone collection or anatomical continuity in mind after only bones remained, may have been carried out simultaneously.
Therefore, this site holds significance as it serves as a reference to infer the cultural nature of the Sogmal Malgal tribe, who occupied the site during the late Goguryeo period to the Balhae period, based on the chronology and burial practices of the upper layer site of Dahaimeng.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사현황
Ⅲ. 유적의 연대
Ⅳ. 매장 행위 추론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The Cultural Mission in the New Era: Core Essentials, Generative Mechanisms, and Key Functions
- Xi Jinping's Triple Logic of the Important Exposition of Marine Powers into Colleges and Universities'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 The Contemporary Value, Basic Principles and Inheritance Paths of Outstanding Traditional Chinese Cultur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