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진로, 창업, 경영 분야에서 뇌파 분석(EEG)의 활용 현황

이용수 5

영문명
Current Utilization of Electroencephalography (EEG) Analysis in Career,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Research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저자명
서건교(Keonkyo Seo) 전병준(Byungjune Chun)
간행물 정보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8권 제6호, 297~31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I와 뇌과학의 발전에 따라 국내 진로, 창업, 경영 분야에서 뇌파 분석(Electroencephalography, EEG)의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EEG의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연구에서 활용된 EEG 관련 키워드를 바탕으로 문헌을 수집한 후, 진로, 창업, 경영 분야에 해당하는 주제를 다룬 논문을 선별하였다. 최종적으로 2006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진로, 창업, 경영 분야의 논문 14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연구 연도, 연구 방법, 연구 대상, 데이터 수집 및 처리 방식, 주요 종속 변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EEG 연구는 진로, 창업, 경영 분야에서 점차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창업가의 의사결정 과정,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스트레스 관리 등에서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EEG는 비즈니스 문제 해결, 소비자 행동, 광고 효과 분석 등의 연구에서 실시간으로 인지적·정서적 반응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 초기 연구는 EEG와 설문을 결합한 형태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행동실험과 머신러닝을 포함한 데이터 기반이 분석이 증가하고 있다. 연구 대상은 주로 대학생 및 청년층으로 구성되었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8채널, 14채널, 64채널 장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뇌 영역의 활동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EEG는 개인의 직무 적합성 평가, 창업가의 스트레스 반응 및 창의적 사고 분석 등 다양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사건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 ERP)분석을 통해 소비자 행동과 팀 내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인지적 부하를 평가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EEG 활용은 진로, 창업, 경영 분야에서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하고, 맞춤형 인재 개발 및 경영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진로, 창업, 경영 분야에서 EEG 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며,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연구대상의 다양화를 통해 보다 폭넓은 결과를 도출하고, 실제 경영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탐구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나아가, 신경과학적 접근을 활용하여 의사결정, 창의성 증진, 스트레스 관리와 같은 실무적 문제를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적 도구로 EEG의 발전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Electroencephalography (EEG) application in Korea’s career,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fields, driven by advancements in AI and neuroscienc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present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use of EEG. To achieve this, 14 pap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wit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between 2006 and 2023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methods, research subjects,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and key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 that EEG research is gaining attention in the fields of career,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The usefulness of EEG has been validated, particularly in entrepreneurial decision-making,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stress management. EEG has been effectively utilized in studies on business problem-solving, consumer behavior, and advertising effect analysis to measure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in real-time. While early research mainly combined EEG with surveys, recent studies have increasingly adopted data-driven approaches, including behavioral experiments and machine learning. The primary research subjects were university students and young adults. For data collection, equipment with 8-channel, 14-channel, and 64-channel configurations was mainly employed, focusing on detailed analysis of various brain regions’ activities. EEG has proven useful for evaluating job suitability, analyzing entrepreneurs’ stress responses and creative thinking patterns, and assessing cognitive load in consumer behavior analysis and team decision-making through Event-related Potentials (ERP) analysis. This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EEG to enhanc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in career,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supporting personalized talent development and strategic management planning. This study highlights the expansion potential of EEG research in the fields of career,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serving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future studies. It emphasizes the need for diverse research subjects and the exploration of practical applications in real business settings. Furthermore, the study discusses EEG’s potential as an advanced methodological tool to support decision-making, creativity enhancement, and stress management through a neuroscience-based approach.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건교(Keonkyo Seo),전병준(Byungjune Chun). (2024).국내 진로, 창업, 경영 분야에서 뇌파 분석(EEG)의 활용 현황.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8 (6), 297-315

MLA

서건교(Keonkyo Seo),전병준(Byungjune Chun). "국내 진로, 창업, 경영 분야에서 뇌파 분석(EEG)의 활용 현황."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8.6(2024): 297-3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