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YOLOv8 딥러닝 모델을 통한 새싹 채소의 부위별 길이 측정
이용수 3
- 영문명
-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Technology for Phenotyping Tissue Specific Length of Sprout Vegetables Using YOLOv8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조영훈(Yeonghun Cho) 김재윤(Jae Yoon Kim) 하정민(Jungmin Ha)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56 No.4, 417~42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Deep learning has gained considerable interest in agricultural breeding research. While advances in sequencing technologies have made genotypic data collection easier in genomic breeding, phenotypic data collection remains labor intensive and time consuming. Furthermore, as traditional phenotypic data collection relies heavily on manual processes, the results may vary based on the researcher’s skill and criteria. Thus, automated phenotypic data collection is essential for addressing these challenges.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 deep learning model using the YOLOv8 framework to measure the lengths of hypocotyls and roots in sprout vegetables such as mung bean, cowpea, and soybean. Our model automates the measurement process, accurately identifies the hypocotyl and root using Roboflow, and subsequently measures their lengths with high precision in various legume species. This approach addresses the challenges of extensive phenotypic data collection, which is essential for genetic breeding and agricultural improvement. Our deep learning model facilitates consistent and accurate data collection in large-scale studies by controlling variables influenced by the researcher’s skills and criteria. This reduces errors and enhances data reliability and accuracy, which are crucial for successful breeding practices and agricultural research.
영문 초록
목차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사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밀 품종 육성을 위한 밀 육종 연구동향
- 한국육종학회지 제56권 제4호 목차
- 새순이 크고 수확량이 많은 조생성 두릅나무 ‘영춘’
- ‘참동진/영호진미’ 재조합집단을 이용한 품질 관련 양적형질 유전자좌 분석
- The Trap of Presumption: A Case Study of Agricultural Research for Early Detection of Brown Planthopper Damage in Rice Fields
- 배추 자원별 유전자형 변이가 배추 소포자배양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옥수수 배가반수체 육종 기술: 새로운 패러다임
- 재배 용이한 연내 수확 만감류 신품종 ‘미래향’ 육성
- 한해와 도복에 강한 조생 사료용 트리티케일 ‘신조성’
-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 도입에 따른 벼 후대계통의 수량관련형질의 연관 분석
- YOLOv8 딥러닝 모델을 통한 새싹 채소의 부위별 길이 측정
-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밀 종자 발아 예측
- ‘오대’/‘운봉40호’ 재조합자식계통 집단을 이용한 잎 크기 형질에 대한 QTL 분석
- 충남평야지 적응 만생종 중간찰 벼 ‘다품’
- 안토시아닌 함유 얼룩찰옥수수 ‘미현찰’
- 논 적응성 향상 기계화 소분지 고착협 콩 품종 ‘장풍’
- 조기재배용 분질고구마 ‘진다미’
참고문헌
- Plant Breed Biotech
- Int J Food Sci
- Korean J Plant Res
- Korean J Breed Sci
- Plant Breed Biotech
- Korean J Breed Sci
- J Korea Soc Food Sci Nutr
- Plants
- Smart Media Journal
- Comput Electron Agric
- Korean J Agric Sci
- Front Plant Sci
- J Food Qual
- J Sci Food Agric
- Curr Opin Chem Biol
- In: 2016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 Plant Methods
- Int J Food Sci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sucrose, and silver nitrate on in vitro rose flowering
- CRISPR-enhanced iron accumulation in TBR225 rice via OsNRAMP7 overexpression
- 용매 농도와 추출 방법이 개똥쑥 잎의 생리활성 화합물 추출 효율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