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남녀격차: 플랫폼 노동 참여와 근무조건을 중심으로
이용수 17
- 영문명
- Gender Disparities in the Platform Labor Market: Focusing on Participation and Working Conditions in the Platform Economy
- 발행기관
- 한일경상학회
- 저자명
- 김준영(Joon-Young Kim) 오혜은(Hea-Eun Oh)
- 간행물 정보
- 『한일경상논집』제105권, 95~11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e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gender disparities in the South Korean platform economy labor market have been reduced or resolved, particularly in light of the platform economy’s potential to diminish traditional gender inequal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udy utilizes raw data from the “2022 Working Conditions of Platform Worker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assess the probability of women participating in platform labor compared to men. Additionally, the research analyzed differences in income, working hours, and employment conditions between male and female platform workers.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likelihood of women participating in platform labo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men, contradicting the theoretical expectation that platform labor could enhance women’s labor market participation. Female platform workers were found to be in a disadvantaged position in terms of monthly income, working hours, and other employment conditions. About 43% of female workers in platform labor also engaged in other non-platform work, reflecting precarious employment and low income. Gender occupational segregation persisted, with men and women continuing to dominate traditionally male-dominated and female-dominated occupations, respectively.
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gender inequality remains entrenched in the platform economy, and the growth of the platform economy alone does not automatically resolve gender disparities. Policymakers and stakeholders need to recognize these persistent inequalities and address the structural barriers that limit the potential for gender equity in platform work.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플랫폼 노동시장의 불평등
3. 연구방법
4. 플랫폼 경제의 성별 격차
5.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일본의 기업 및 자본시장 정책 10년의 변화
- 국가별 경제 추격의 수준에 따라 경제 효율성이 다른가?
- 기업 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과 모니터링 활동: IIA의 3선 모델 관점에서 본 일본 소프트뱅크와 롯데의 사례 연구
- 인슈어테크의 도입으로 인한 일본보험산업의변화에 관한 고찰
- 메타버스 환경에서 고객서비스 수준을 고려한 주문생산 공급망 네트워크 최적화
- 日本型社会的合意の形成と展望: 経済復興運動と政労使体制の形成
-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남녀격차: 플랫폼 노동 참여와 근무조건을 중심으로
- 1950∼60년대 일본 미싱 산업의 성장과 경쟁력 요인에 관한 재고찰
- 1960년대의 포항종합제철건설과정에서의 일본의 협력
- 「両利き経営」と 「オープンイノベーション」: トヨタ自動車におけるBEV専用PF開発戦略
- 한국 파운드리 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관한 연구: 수정된 다이아몬드 모델의 적용
- 일본에서의 소비지출에 대한 물가 변동의 영향
- 일본 내 디지털 기술 활용 수준이 자기효능감과 업무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 내 변화지향적 리더십과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개발 지원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참고문헌
- Gender a výzkum
- Journal of Sociology
- Comparative Labor Law and Policy Journal
- Internet Policy Review
-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 Proceedings of the ACM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 New Technology, Work and Employment
- New Technology, Work and Employment
- Korean Journal of Law & Society
-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 Organization
- Transfer: European Review of Labour and Research
-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 Internet Policy Review
- Policy & Internet
-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 Theory and Society
- Annual Review of Sociology
-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CSCW)
-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