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초 이음교육의 새로운 방향성 탐색
이용수 14
- 영문명
- Exploring New Directions for Preschool-Elementary Transitio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호(Ho Kim)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8권 제4호, 123~13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초 이음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에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22 개정 초등교육과정에서 교육기관 간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전국적으로 유·초 이음학기 시범유치원이 점차 증가하면서 유·초 이음교육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유·초 이음교육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유·초 이음교육의 대상을 5세에서 전 연령으로 확장하고, 초등학교 준비가 아닌 유아의 현재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아를 행위주체자로 인식하고, 유아교육과 초등교육 간의 차이를 존중하면서 공존을 추구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공동체의 협력적 관계 강화가 필요하며, 현실적 제약 속에서도 단위 유아교육기관 차원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이음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유아 중심의 포괄적이고 지속적인 유·초 이음교육 접근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실천적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preschool-elementary transition education.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preschool-elementary transition education, as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e connectivity betwee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number of pilot kindergartens implementing transition semesters is gradually increasing nationwid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the limitations of current transition education and explored ways to improve i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arget of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from 5 years old to all ages, and that the focus should be on improving the current quality of life of young children rather than preparing for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young children should be recognized as agents of action and that coexistence should be pursued while respecting the differences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operative relationships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find ways to connect educ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at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ven under realistic constrai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a comprehensive and continuous child-centered approach to transition education and presents practical measures for implemen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유·초 이음교육의 대한 새로운 방향
Ⅲ.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떤 학생이 학생설계융합전공을 이수하는가? - 군집분석을 활용한 기이수 집단 분석
- 조직의 다양성과 참여적 의사결정이 학교혁신에 미치는 영향: 학교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 테크놀로지통합교육을 위한 체육 교사 교육 전략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어린이집 권리존중보육에 관한 연구 동향
- 학교자체평가와 학교자율 종합감사의 연계 방안 탐색
- 사립유치원 경력교사가 경험하는 직무에 대한 고민과 요구
- 공교육에서 ‘에듀테크 활용 맞춤형 학습’의 의미와 실행방안 탐색
- 교사가 경험하는 번아웃 증상의 특성: 일반 직장인과의 비교
- 유·초 이음교육의 새로운 방향성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