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통 성년례의 현대적 의의
이용수 3
- 영문명
- A Significance of the Traditional Coming-of-Age Ceremony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 저자명
- 김은희(Eun-Hee Kim)
- 간행물 정보
- 『동양학연구』제9집, 174~194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람의 사회생활은 태어나서 죽기까지 수많은 ‘관계’를 통해 형성된다.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비롯하여 스승과 제자, 친구나 동료 등 여러 관계들 속에서 사회적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인간의 일생의례 중 현대에 와서 그 의미가 희미해져 가고 있는 성년례에 대한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과거 성년례의 기원과 변천을 살펴보고 그것이 갖는 의의를 재검토함으로써 현대 성년례의 중요성을 드러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군다나 우리 전통의 성년례는 중국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중국의 성년례 전반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아야 한다. 이를 중국의 『주자가례』와 우리의 『사례편람』을 통해 살펴보았다.
전통 성년례의 올바른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날로 심각해져가는 현대의 청소년문제를 해결하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는 ‘관계’라는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결국, 청소년들이 성년례를 행할 때 발생하는 관계들 속에서 성인으로서의 자격이 부여되는 만큼 자아에 대한 책임의식이 뒤따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성인이 된 그들이 성숙한 사회관계를 유지하는데 좋은 경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Social life of a human being is established by innumerous “relationships” from birth to death. That is to say, a human lives one's own life by making social relations from various relationships, including parenthood and child, teacher and student, friends, colleague, and other.
This paper is to revive the coming-of-age ceremony, the most decaying ceremony of life time at present days. It is prerequisite to survey on the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the coming-of-age ceremony, and to manifest its importance at contemporary by reinvestigate on its meaning. Since the traditional coming-of-age ceremony of Korea had been influenced by China, we have to generally investigate on that of China. Also, the both can be comparatively researched through Zhu-zi-jia-li(朱子家禮) of China and Sa-rye-pyeon-ram(四禮便覽) of Korea.
We expect that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coming-of-age ceremony would help to solve the increasing juvenile problems of today. It can be approached from the aspect of “relation” for proper understanding. They will be aware on responsibility of their own self, as their adulthoods are endowed by the relations which established at the time of the ceremony. Eventually, it will be a valuable experience to maintain a matured social relation.
목차
Ⅰ. 서론
Ⅱ. 성년례의 기원과 변천
Ⅲ. 한국과 중국의 성년례
Ⅳ. 성년례의 현대적 의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