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民畵文字圖의 교육적 활용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Educational Use of Minhwamunjado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저자명
조헌철(Hyun-Chul Cho)
간행물 정보
『동양학연구』제9집, 29~5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연구대상인 민화문자도는 민중문화와 예술의 발전으로 다채롭고 아름다운 민화가 성행하는 가운데 나타났다. 주로 8폭의 병풍으로 제작된 민화문자도는 왕실에서부터 백성들의 가정에까지 집안장식이라는 실용적 기능에 더하여 자녀들의 인성교육 자료로도 널리 활용되었다. 그래서 가정에서는 상시적으로 접할 수 있는 장소에 놓아둠으로써 집안장식 뿐만 아니라 아이들로 하여금 민화문자도에 등장하는 인간상이 자연스럽게 자신의 롤 모델이 되도록 하는 교육적 효과까지 기대하게 되었다. 과거 한국이 동방예의지국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이같은 생활화 된 인성교육의 힘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민화문자도에는 윤리도덕 뿐만 아니라 풍부한 고사와 다양한 인물들의 삶이 있고, 더구나 스토리텔링 훈련에 더없이 좋은 소재들이 있다. 그래서 인성을 순화하고 사회적 질서를 가르칠 수 있는 교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자녀들과 함께 직접 제작하여 집안장식 예술품으로 비치할 수도 있다. 앞으로 민화문자도가 학교수업 뿐만 아니라 가정교육에도 활용되어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이 바람직한 생각과 행동을 길러나가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영문 초록

The object of this study is Minhwamunjado, a painting which first emerged around the cultural climate in which the development of popular-festive cultures yielded a flourishing of various types of high-quality folk paintings. Drawn on an eight-folded screen, Minhwamunjado played an essential part not only in decorating the interior space of royal palace and common house but also in imparting to children a crucial array of moral concepts and ethical ideas. For this reason, it was set up in some readily accessible areas to maximize its decorative strength and to enable children to take the type of human beings represented on the screen as their role models. If pre-modern Korea deserved to be called the country of courteous people in the East, it was mainly due to this type of personality education embedded in everyday life. The present society, however, breeds a wide array of social problems, promoting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but belittling the signific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True, economic growth and social transition played a vital role to transform people's ways of living and manners, and yet most of their conduct norms and value systems are fundamentally determined by a set of ethical principles that pre-modern Koreans had long adhered to. To this extent, one can say with all fairness that Confucianism still remains a substantial ideological presence up to the present as a last bulwark for the spirit of 'Hyo', thus pervading throughout the minds of today's Korean people. To conclude, it is the author's hope that Korean parents and teachers make good use of Minhwamujado both at home and at school to encourage our children and teenagers to foster sound spirit and mind and ultimately cultivate them as good citizens.

목차

Ⅰ. 서론
Ⅱ. 조선의 유교정신과 民畵文字圖
Ⅲ. 민화문자도의 내용과 그 의미
Ⅳ. 민화문자도의 교육적 활용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헌철(Hyun-Chul Cho). (2013).民畵文字圖의 교육적 활용. 동양학연구, (), 29-51

MLA

조헌철(Hyun-Chul Cho). "民畵文字圖의 교육적 활용." 동양학연구, (2013): 29-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