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과 매납품에 관한 연구

이용수 5

영문명
A Study on the Burial Goods in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the Silleuksa Temple in Jecheon
발행기관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저자명
서지민(Ji-Min Seo)
간행물 정보
『중원문화연구』제29집, 143~17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은 충북지역에서는 흔치 않은 통일신라시대에조성된 무구정탑이지만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했다. 이에 신륵사 삼층석탑의 양식적인 특징을 파악해서 제작시기를 밝히고, 탑 안에 매납되어 있던 토제소탑과 금동사리함을 같은 시기의 다른 무구정탑과 사리장엄구들과 비교, 고찰하여 그 성격과 의의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신륵사지 삼층석탑의 기단부 결구구조를 중심으로 각 형식과 양식적인 특징을 살펴본 결과 신라 말인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전반에조성되었다고 판단하였다. 또 이 석탑은 인근에 세워졌다가 후대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 다시 세워지면서 일부 부재를 보수했다고 추정된다. 신륵사지 삼층석탑 상층기단부에 매납되어 있던 토제소탑과 금동사리함은 이 탑이『무구정경』에 의거하여 조성된 무구정탑임을 말해준다. 신라하대에는 전문적인 승려가 다라니작단법 등 무구정탑 조성 의례를 집전하였다. 따라서 신륵사지 삼층석탑의 매납품은 원상을 잃었지만, 같은 시기 다른 무구정탑의 사리장엄구처럼 금동사리함을 중심으로그 주위에 토제소탑이 에워싸고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토제소탑 안에 다라니를 넣지 않고 따로 서사해서 사리장엄구와 함께 안치했을 것이다. 정통의 공양방식과 달리 토제소탑을 108기 제작한 것은다양한 발원내용을 한꺼번에 실현할 수 있는 정각을 이루어 모든 번뇌를 벗어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되었다고 이해된다. 신륵사 삼층석탑출토 토제소탑과 금동사리함은 왕실발원작에 비해 재료, 제작기술 등품질 면에서 현격한 수준 차이를 보인다. 이런 양식적 특징을 감안할때 제천지역의 향도들이 주도한 결사를 통해서 조성되었다고 추정된다. 이런 신륵사지 삼층석탑과 매납품의 고찰을 통해 왕실발원작 위주의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통일신라시대 무구정탑의 조성과 신앙에 대한 시각을 보다 넓힐 수 있다.

영문 초록

Although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in Jecheon is a Mugujeong pagoda built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which is rare in Chungbuk, bu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until now. Therefore, this study grasped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to figure out the time of production and compared and considered the small earthen pagodas and gilt-bronze sarira reliquary buried in the pagoda with other Mugujeong pagodas and sarira reliquaries in the same period to discuss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foregoing burial goods. The forms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stylobates, and based on the results, it was judged that the Three-story Stone Pagoda was built in the late 9th to early 10th century, the late Silla Dynasty period.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this stone pagoda was built in the vicinity and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and rebuilt later and that some members were repaired at that time. The small earthen pagodas and gilt-bronze sarira reliquary buried in the upper stylobate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site tell that this pagoda is a Mugujeong pagoda built according to 『Mugujeong Sutra』. In the latter part of the Silla Dynasty period, professional monks held the rites of establishing the Mugujeong pagoda, such as the dharani jakdanbeop. Therefore, although the burial goods in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lost their original forms, it is thought that the small earthen pagodas surrounded the gilt-bronze sarira reliquary as with the sarira reliquaries in other Mugujeong pagodas in the same period and the dharani was not put into the small earthen pagodas but was written separately and enshrined together with the sarira reliquary. It is understood that the production of 108 small earthen pagodas, unlike the orthodox offering method, reflects the intention to escape from all passions by achieving full enlightenment to realize various prayer requests at once. The small earthen pagodas and gilt-bronze sarira reliquary excavated from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show marked differences in level in terms of quality such as materials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compared to the works originated from the royal family. When these stylistic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it is assumed that they were created through an association led by local believers in Jecheon. Through this study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and the burial goods, it is possible to broaden the perspective on the creation of Mugujeong pagodas and faith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centered on the works originated from the royal family.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륵사 삼층석탑의 양식특징과 제작시기
Ⅲ. 신륵사 삼층석탑 매납품의 성격과 특징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지민(Ji-Min Seo). (2021).제천 신륵사 삼층석탑과 매납품에 관한 연구. 중원문화연구, (), 143-179

MLA

서지민(Ji-Min Seo).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과 매납품에 관한 연구." 중원문화연구, (2021): 143-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