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 of latent class typologi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n student’s global citizenship
이용수 12
- 영문명
- 발행기관
- 글로벌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김지인(Jiin Kim)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교육연구』제16집 3호, 139~16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계시민교육(GCE)에 관한 연구들은 이론적 접근, 내용, 교수법에 따라 세계시민교육의 형태와 유형이 다양하다는 것을 제시하였지만, 학교에서 어떤 종류의 세계시민교육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국가 단위의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2018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 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GCE 잠재유형과, 다른 유형의 세계시민교육이 학생의 세계시민성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1)비GCE 학습자, 2)지식 기반 GCE 학습자, 3)지식과 관점 기반 GCE 학습자, 4)지식, 관점, 참여 기반 GCE 학습자로 구성된 4가지 유형의 GCE 학습 그룹이 확인하였다. 또한 지식, 관점, 참여 기반 GCE를 경험한 학생들이 지식 기반 GCE만 경험한 학생들에 비해 세계시민성이 높고, 세계시민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것을 보였다. 이 연구는 GCE의 유형을 실증적으로 입증하고 지식 전달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GCE가 강조되어야 하는 이유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oretical research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 suggested that how forms and typologies of GCE are diverse following by the theoretical approach, contents, and pedagogi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ow different types of GCE is shap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GC. This study fills the knowledge lacuna by examining how students’ GC is differently sharpened by different typologies of GCE among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using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data. Using latent class analysis, a four-class typology of GCE learning groups was identified, consisting of non-GCE learners, knowledge-based GCE learners, knowledge and perspectives-based GCE learners, and knowledge, perspectives, and engagement-based GCE learners. The results also proved that students with knowledge, perspectives, and engagement-based GCE are more likely to have high self-efficacy on global issues, global-mindedness, and more participation in GC activities compared to students who experienced only knowledge-based GCE. This study is worthwhile by empirically demonstrating the typology of GCE and providing evidence of why diverse forms of GCE should be highlighted rather than the delivery of knowledg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ology
Ⅳ. Results
Ⅴ. Discussion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군집분석을 이용한 농촌 청년 활성화 지역 특성 분석
- 말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고등학교) 교사의 ICT 리터러시와 ICT 활용 수업 의도 관계 분석
- 영성지능이 영역초월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