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세기 초 한글 간본문헌 서체의 특징과 그 서예사적 의의

이용수 0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ic Script of Published Hangeul Document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Their Significance in Calligraphy History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박정숙(Jung-sook Park)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제45호, 101~13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5세기에 한글이 창제된 이후 20세기 전반기에 이르기까지의 한글 서체 변모 양상을 밝히고 그 과정에 나타난 다양한 한글 서체 변화과정을 정리하고자 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연구의 대상은 20세기 전반기에 간행된 한글 간본문헌으로 관서와 종교단체 및 기타 민간에서 간행한 한글 간본문헌 중 서체가 우수하고 가독성이 높으며 서지적 사항이 확실한 75종이다. 20세기 초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한글문헌은 관이 주도했던 인쇄문화가 민간 주도로 바뀌면서 방각본, 신식납활자본, 석인본 등 간행방법의 다양화함에 따라 한글 문헌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한글문헌이 민간에서의 대량유통으로 인해 국어생활의 대중성과 확장성에 기여한 점은 인정되나 생동감이나 조형적인 변화가 없고 실용화 공업화로 이루어진 서체는 예술성의 저하, 필획의 단순화를 불러왔다. 서체의 특징 또한 19세기 말에 정착된 자형에서 크게 변화는 없고 전주에서 간행된 방각본 민체가 유행된 것 외에 거의 궁체형으로, 간행 방법에 따른 서체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일제의 까다로운 검열은 방각본 소설이 유행하는 소지가 되었고, 민간에서 간행한 교과서가 공존하였다. 서체면에서는 거의 모든 인쇄에서 궁체 자형으로 일반화되었으며 열악한 자본의 민간 출판은 간본서체의 미감이 조악(粗惡)해지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part of a project to clarify the changes in Hangeul calligraphic scripts from the invention of Hangeul in the 15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to organize the various modifications in Hangeul calligraphic scripts that occurred during the proc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75 kinds of Hangeul documents with excellent calligraphic scripts, high readability, and reliable bibliographic information among the documents published by government agencies, religious groups, and other private organization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printing culture led by the government had changed to the private sector. As a result, published Hangeul documents became popularized as publishing methods diversified, such as wood-block printing, new lead-type printing, and lithograph. Although the mass distribution of Hangeul documents contributed to the popularity and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life, the lack of liveliness or formative changes and the fonts created through practical industrialization led to a decline in artistry and the standardization of strok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nts also did not change In addition, the strict censorship of the Japanese Empire contributed to the popularity of block-printed novels and made textbooks published by the private sector coexist. The fonts of the court style of Hangeul calligraphy have become common in almost all types of printing, and private publishing with poor capital has resulted in the crudity of printed font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검토 대상 문헌 해제
Ⅲ. 자 · 모음의 조형 양상 분석
Ⅳ. 초 ㆍ중성, 초 ㆍ중 ㆍ종성의 조형 양상 분석
Ⅴ.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숙(Jung-sook Park). (2024).20세기 초 한글 간본문헌 서체의 특징과 그 서예사적 의의. 서예학연구, (), 101-130

MLA

박정숙(Jung-sook Park). "20세기 초 한글 간본문헌 서체의 특징과 그 서예사적 의의." 서예학연구, (2024): 101-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