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민 커뮤니티 통번역사를 위한 한국어교육 방향 탐색 연구 -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44
- 영문명
- Exploring Direc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grant Community Interpreters : A Narrative Analysi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한혜민(HaeMin Han) 송은정(Eunjung Song) 정회란(Hoeran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1권 제2호, 193~21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이주민 커뮤니티 통번역사를 대상으로 지금까지 경험해 온 한국어 학습의 의미를 밝히고 이들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들은 커뮤니티 통번역사로 활동하기 전까지 이주민 학습자로서 단계별 한국어교육을 통해 한국어 숙달도가 향상되었다. 그런데 이 과정만으로 커뮤니티 통번역사로서의 충분한 언어적 역량을 갖추기는 어려웠고 그 과정에서 겪는 언어적 어려움은 스스로 해결해야 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수업을 찾아 듣기도 하고, 전문 용어를 스스로 학습하고 주변의 도움을 받는 등 스스로 부족한 한국어 능력을 개선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한국어는 커뮤니티 통번역사로서의 꿈을 이어갈 수 있는 도구이자 지속적으로 학습해야 할 목표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들이 커뮤니티 통번역을 원활히 수행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한자어와 같은 어휘 및 표현 학습과 함께 발음 교정, 퇴고 쓰기, 즉시 통역 말하기나 발표와 같은 처방적 기능 향상을 도모하는 한국어교육과 더불어 통번역 방법과 기술, 커뮤니티 통번역사의 윤리 교육 등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아직 논의가 부족한 이주민 커뮤니티 통번역사를 위한 한국어교육에서의 기초 연구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study aimed to clarify the Korean learning experiences of interpreters. Participants were four migrant community interpreters who had obtained step-by-step Korean language education before working as community interpreters and had to solve linguistic challenges on their own.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had to identify their shortcomings, find classes, create their own vocabulary lists, and improve their Korean proficiency with the help of the communities. Through their narratives, the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y needed practical Korean education on vocabulary, grammar, pronunciati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terpreting skills, and ethics to do their work effectively.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Cyber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및 대상
4.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주민 커뮤니티 통번역사를 위한 한국어교육 방향 탐색 연구 -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 CiteSpace를 활용한 중국의 한국어학 연구 핫이슈 분석 및 전망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에 나타난 문법ㆍ표현의 사용 양상 연구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능력 평가를 위한 구인 연구 - 화행을 중심으로
- 문법적 은유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발달 양상 분석 - 명사화 표현을 중심으로
-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조사를 통한 개선 방안 제안 - 교육 담당자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 L1(중국어)과 L2(한국어)에 따른 동태적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양상 비교 -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hen의 “Asia as method”라는 아이디어가 교육 연구의 탈식민화에 주는 시사점: 국내 다문화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 OECD 주요국의 고등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과 재정 투자 전략 탐색
- 디지털 교실환경 유형과 학생의 학교생활 : OECD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