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조사를 통한 개선 방안 제안 - 교육 담당자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이용수 52
- 영문명
- Improving the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cademic Purposes in Domestic Universities : In-depth interviews with instructo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선영(Sunyoung Lee) 한하림(harim Han) 이유경(Yook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1권 제2호, 27~5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운영 현황을 살펴볼 필요가있다고 보고, 학위 및 비학위 과정의 교육 담당자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 어학연수 기관의 교육 담당자들은 일반 목적 교육과정과 구분되는 학문 목적 교육과정만의 차별성과 입학후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학위 과정 내 한국어 교육과정의 교육 담당자들은 유학생간 한국어 수준의 차이가 커 실질적인 수업 운영이 어렵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을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 및 교육 담당자가 참고할 수 있는 표준적 성격을 지닌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하위 유형을 세분화하는 것에 주안점을둘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representatives who manage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cademic Purposes in both degree and non-degree program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showed that officials at the language training institutions had difficulty differentiating academic Korean curricula from general curricula and securing connections with postgraduate programs. Degree program officials commented on the difficulties in conducting practical classes due to the substantial differences in Korean language level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To address these difficulties, this study proposes that it is vital to focus on categorizing the curriculum when developing a standardiz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cademic Purposes. (The Cyber University of Korea, Hanbat National University, Kyonggi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주민 커뮤니티 통번역사를 위한 한국어교육 방향 탐색 연구 -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 CiteSpace를 활용한 중국의 한국어학 연구 핫이슈 분석 및 전망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에 나타난 문법ㆍ표현의 사용 양상 연구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능력 평가를 위한 구인 연구 - 화행을 중심으로
- 문법적 은유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발달 양상 분석 - 명사화 표현을 중심으로
-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조사를 통한 개선 방안 제안 - 교육 담당자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 L1(중국어)과 L2(한국어)에 따른 동태적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양상 비교 -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hen의 “Asia as method”라는 아이디어가 교육 연구의 탈식민화에 주는 시사점: 국내 다문화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 OECD 주요국의 고등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과 재정 투자 전략 탐색
- 디지털 교실환경 유형과 학생의 학교생활 : OECD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