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L1(중국어)과 L2(한국어)에 따른 동태적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양상 비교 -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하여
이용수 15
- 영문명
- According to L1(Chinese) and L2(Korean) Comparison of Dynamic Multimodal Text Reading Patterns : Using Eye-tracking Devic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흠(Xin Li)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21권 제2호, 95~12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언어별에 따른 동태적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을 때 나타나는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학습자의 모국어로 된 중국어 텍스트와 제2 언어로 된 한국어 텍스트를 읽어나가는 과정을 시선추적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양상의 차이를 텍스트의 언어와 문화 변인에 따라 비교ㆍ분석하였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L1, L2로 된 동태적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은 양상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확인하였다. 첫째, L1, L2 텍스트의 언어 변인에 따른 읽기 양상에서 L1 텍스트는 시청각 양식을 중심으로 한 훑어 읽기, L2 텍스트는 문자 양식을 중심으로 한 꼼꼼하게 읽기의 양상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들이 한국어 고급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L2에 대한 듣기 불안을 갖고 있기에 읽기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선이 주로 문자 중심으로 고정되었다는 데에서 알 수 있었다. 둘째, L1, L2 텍스트의 문화 변인에 따른 읽기 양상에서 학습자들이 텍스트 이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상업적 의도를 읽어내는 데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L1, L2 텍스트의 특정 부분을 단서로 삼아 그 단서와 자신의 배경지식 또는 자신의 경험과 결합하여 전체 텍스트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추론해 낼 수 있는지에 대한 차이에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tterns in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reading dynamic multimodal texts according to language. Specifically, the process of reading Chinese texts in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and Korean texts in their second language was examined in actual time using an eye-tracking devi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spects when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language and cultural variables of the L1 and L2 tex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how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read dynamic multimodal texts in L1 and L2. First, regarding reading patterns following the linguistic variables of L1 and L2 texts, L1 texts showed a pattern of skimming through audiovisual forms, whereas L2 texts demonstrated a pattern of meticulous reading that focused on written forms. This may be because the learners experienced listening anxiety regarding L2 despite their advanced level of Korean; hence, their gazes were mainly focused on letters during the reading process. Second, in the reading patterns of L1 and L2 texts, following cultural variables, learners had difficulty reading the various commercial intentions behind the texts. This emerged from differences in whether learners could use specific parts of L1 and L2 texts as clues and combine those clues with their background knowledge or experiences to infer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entire text.(Ewha Womans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결과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주민 커뮤니티 통번역사를 위한 한국어교육 방향 탐색 연구 -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 CiteSpace를 활용한 중국의 한국어학 연구 핫이슈 분석 및 전망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에 나타난 문법ㆍ표현의 사용 양상 연구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능력 평가를 위한 구인 연구 - 화행을 중심으로
- 문법적 은유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발달 양상 분석 - 명사화 표현을 중심으로
-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조사를 통한 개선 방안 제안 - 교육 담당자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 L1(중국어)과 L2(한국어)에 따른 동태적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양상 비교 -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hen의 “Asia as method”라는 아이디어가 교육 연구의 탈식민화에 주는 시사점: 국내 다문화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 OECD 주요국의 고등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과 재정 투자 전략 탐색
- 디지털 교실환경 유형과 학생의 학교생활 : OECD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