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참회의 신학 - ‘메모리아’와 ‘포살’에 관한 기독교와 불교의 대화

이용수 16

영문명
Theology of Penitence : An Inter-religious Dialogue of Christianity and Buddhism on Memoria and Uposatha
발행기관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저자명
신은희(Eun-Hee Shin)
간행물 정보
『신학사상』206집(2024년 가을호), 283~30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참회에 관한 기독교와 불교의 종교 철학적 대화이다. 기독교 전통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St. Augustine of Hippo)의 『고백록』(Confessions)에 나타난 ‘메모리아’(memoria)의 이론을 중심으로 참회의 기억을 살펴본다. 불교의 전통에서는 붓다가 설법한 ‘포살’(uposatha) 전통을 중심으로 초기 불교가 전한 참회의 개념을 성찰해 본다. 이 대화를 통해 참회에 관한 기독교와 불교의 존재론과 인식론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본다. 두 전통은 각각 ‘신성의 절대성’과 ‘불성의 연기성’에 기초한 참회의 자발성과 개방성의 특징이 있다. 참회의 존재론적인 해석은 ‘기억의 내향성’이 각각 신적 근원성과 자성의 연기성으로 대조적 특징을 이룬다. 참회의 인식론적 해석은 ‘메모리아의 선재성’과 ‘포살의 상기설’로 각각의 고유한 관점이 있다. 포살과 자자를 통한 여법화합갈마는 공동체의 청정함을 위한 윤리적 가치를 강조한다. 참회의 기억을 통해 개인과 사회, 산자와 죽은 자, 인간과 신성의 관계성은 복원되며 진정한 공동체의 화합이 가능해진다. 참회의 신학은 기억과 화해를 통한 신적 정의와 선정의 평화가 성취될 수 있도록 잊혀진 공동의 기억에 기초한 참회의 도덕적 책임을 강조한다. 이 글은 아만(我慢)의 문화를 극복하고 개인과 공동체의 성스러운 내면성의 기억을 회복하기 위한 한국적 참회 신학의 지향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a Korean theology of penitence through inter-religious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Augustine’s concept of ‘memoria’ and Buddha’s notion of ‘uposatha’ will be examined in a comparative way.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s shall b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ethical implications highlighting the religio-philosophic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each. The two idea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of ’spontaneity’ and ‘openness’ regarding penitence. The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penitence commonly exhibits an ‘inwardness of memory,’ which distinctly contrasts divine origins of Christianity with the dependent co-origination of the Buddha-nature. The epistemological interpretation of penitence emphasizes the unique perspectives characterized by the ‘pre-existence of memoria’ and the ‘recollection theory of memory,’ respectively. This paper proposes theological orientations of penitence to sublimate selfishness and cultural narcissism in a way of restoring the sacred interiority of memory towards reconciliation and harmony of the community.

목차

Ⅰ. 시작하며
Ⅱ. 아우구스티누의 『고백론』에 나타난 참회의 메모리아
Ⅲ. 불교의 포살 - 참회의 기억과 화합승
Ⅳ. 참회의 메모리아와 포살의 화합승
Ⅴ. 나가면서 - 참회의 기억 속으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은희(Eun-Hee Shin). (2024).참회의 신학 - ‘메모리아’와 ‘포살’에 관한 기독교와 불교의 대화. 신학사상, (), 283-308

MLA

신은희(Eun-Hee Shin). "참회의 신학 - ‘메모리아’와 ‘포살’에 관한 기독교와 불교의 대화." 신학사상, (2024): 283-3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