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약성서에 두 개의 십계명이 서술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용수 20
- 영문명
- Why are there Two Versions of the Ten Commandments described in the Old Testament?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김영호(Young-Ho Kim)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206집(2024년 가을호), 9~3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출애굽기와 신명기에 있는 두 십계명에 분명한 다른 편집 의도가 있음을 역사적 정황(Historical contexts) 속에서 거시적 접근(Macro Approach)을 통해 분석한다. 본 연구는 성서의 최종적 편집보다 ‘이데올로기 형성’이 먼저 이루어졌다고 가정하며, 이데올로기가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방법론적 기준으로 삼는다.
무엇보다 십계명(원 십계명)은 바빌론 포로 공동체의 초기 혼란기를 수습하기 위한 ‘공동체의 지침서’로 공동체 리더로 부상한 사제 집단에 의해 형성되고 편집되었다. 신명기의 ‘십계명’에 모세가 언급되는 것은, 모세가 귀환 사제 집단의 원형(元型)으로서 자신들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한 편집이다. 포로기의 ‘원 십계명’이 포로기의 혼란기를 수습한 것은, 귀환 초기 유대 지역 페르시아 통치의 안정화를 위해 자신들이 파견된 속주(유대 지역)를 원활하게 통치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귀환 사제는 포고령 혹은 계엄령의 성격으로 자신들의 위상(位相)을 드러낸다. 이러한 모습은 신명기 법전이 שְְׁמַע(쉐마/들어라) 형식으로 이루어진 배경이다.
반면 출애굽기 십계명은 신명기 십계명의 재편집이며, 정통성이 이미 확보된 제2성전 완공 후의 제사장 편집물이다. 이는 20장 십계명 앞뒤의 구조로 19장 5-6절의 ‘제사장 나라’ 언급과 출애굽기 20장 22-26절의 ‘야훼 예배’의 언급을 결론 부분으로 성전의 완공 이후 안정화된 ‘성전 제의’를 통해 “야훼가 복을 주리라”라는 표현으로 자신들의 위상이 성전 권력 안정화 이후의 편집임을 유추할 수 있다. 출애굽기 십계명이 성전을 전제하고 있다는 사실은 제2성전의 권력이 레위 제사장으로 귀결됐음을 의미하고, 레위기 성결법전 역시 출애굽의 내용을 동일하게 언급함으로써 레위 제사장의 성전 운영의 지침서로 정착되어 성전 운영의 안정화를 이중적으로 서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레위 제사장의 작업은 귀환 초기 사독계 제사장의 편집이 자신의 정통성 확보에 주력한 것에 비해, 성전의 제사장의 관점으로 예루살렘 성전의 제사에 참여할 수 있는 법규의 일환 속에서 재편집한 흔적이 찾을 수 있다.
레위 제사장은 자신들의 조상이 모세의 호위 무사가 되어 “야훼의 복을 받는다”라고 편집하여(출 32:25-29), 자신의 위상을 높이고 있으며, 또한, 성전의 주인인 야훼가 천지를 창조하셨다고 편집했다(출 20:11). 창세기 2장 2-3절의 기록을 인용하면서 4계명의 안식일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는 안식일이 창조의 이상적 균형으로써, 일곱째 날에 창조가 완벽하게 끝나고 휴식에 참여하라는 연결은 제2성전의 안정화를 위한 ‘성전세’와 연결되는 사제 이데올로기를 나타내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analyzes through a macro approach within historical contexts the two versions of the Ten Commandments in Exodus and Deuteronomy. It identifies clear differences in editing intentions. This study assumes that ‘ideology formation’ occurred before the final editing of the Bible, and takes the development of ideology from simple to complex as a methodological standard. Above all, the Ten Commandments were probably formed and edited by a group of priests during the initial period of confusion brought on by the Babylonian captivity.
That Moses is mentioned in the ‘Ten Commandments’ of Deuteronomy means that he was additionally edited as the prototype of the returning priest group, and this becomes the basis for judging that the Ten Commandments of Deuteronomy were edit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return of the Babylonian captive priest group. In the same sense that the ‘Original Ten Commandments’ of the Exile period settled the chaotic period of the Exile period, in order to stabilize the Jewish community under early Persian rule in the Judea region and facilitate the rule of the province (Judea region) to which the returning priest was dispatched, the proclamation or martial law was issued as an order. The personality of the proclamation reveals the status of the one who issued it. Through the Ten Commandments of the Hebrew Bible, we learn that a group of priests collected and described the Ten Commandments in order to create a ‘life guide’ and stabilize the captive community amidst the disorder and confusion of the early exile life.
On the other hand, the Ten Commandments of Exodus are a re-editing of the Ten Commandments of Deuteronomy and are a later compilation in the Second Temple period, which had already secured the legitimacy of the priestly class. The mention of the ‘kingdom of priests’ in Chapter 19 and the ‘temple rituals’ that were stabiliz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emple are linked to the phrase “Yahweh will bless” (Exodus 20:22-24). The fact that the Ten Commandments in the Book of Exodus presuppose the temple shows that the Holiness Code of Leviticus also mentions the contents of the Exodus in the same way and has become established as a guideline for the operation of the temple by the Levitical priests, doubly describing the stabilization of the temple operation. In this work of the Levitical priests, traces can be found of the editing of the Zadokite priests in the early days of their return as part of the regulations that allowed them to participate in the sacrifices of the Jerusalem temple from a ritual perspective.
The Levitical priests raise their status by saying that their ancestors became Moses’ bodyguards and “receive Yahweh’s blessings” (Exodus 32:25-29), and that Yahweh, the owner of the temple, created heaven and earth (Exodus 20: 11). They further cite the record in Genesis 2:2-3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Sabbath in the 4th Commandment because the Sabbath is the ideal balance of creation, with creation coming to a complete end on the seventh day, participating in the dessert, and participating in res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사
Ⅲ. ‘이데올로기 해체 비평’을 통한 두 서술의 의도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학사상 206집(2024년 가을호) 목차
- 구약성서에 두 개의 십계명이 서술된 이유는 무엇인가?
- 제네바 컨시스토리의 권한과 한계 - ‘성찬 토큰’의 기원과 배경을 중심으로
- 신경기술과 약물에 의한 도덕적 향상 - 신경윤리학적 쟁점과 신학적 고찰
- 양심이란 무엇인가 - 양심에 관한 신학과 신경과학의 대화
- 소수자의 인권 보호와 인권의 상대적 보편성
- 참회의 신학 - ‘메모리아’와 ‘포살’에 관한 기독교와 불교의 대화
- 위르겐 몰트만과 수운 최제우의 종말론 - 한국적 종말론 모색
- 성만찬으로 재현되는 신령한 몸(Spiritual Body) - 신경인문학에서 바라본 확장된 몸의 신학적 재구성
- 다석 유영모의 ‘인권 개념’에 대한 신학적 연구 - ‘씨알’과 ‘중용’ 사상을 중심으로
- 카를 융의 ‘개성화’와 다석 유영모의 ‘바탈타기’로 성서 읽기 - ‘다시 나지 않으면’(요한복음 3:3)
- 이름 없는 여 예언자는 말할 수 있는가? - 이사야의 예언자 아내와 딸 시온 은유를 통한 상호텍스트적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