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생의 비판적 사고력이 정치적 관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8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Critical Thinking on Political Tolera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박세나(Sena Park) 모경환(Kyung-Hwan Mo)
- 간행물 정보
-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Vol.33, No.3, 191~21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 수도권 지역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력이 정
치적 관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사회과 정치적 관용 교육의 개선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현행 사회과 교육이 학생들로
하여금 불관용의 요인에 대응할 역량을 충분히 길러주지 못한다는 문제의식
을 바탕으로 불관용의 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인지적 기제인 비판적 사고력
에 주목하였다. 비판적 사고 기능과 성향이 정치적 관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기 위해 수도권 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고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비판적 사고 기능과 성향 모두 정치적 관용
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사고 성향의 조절 효과
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관용 교육의 소극적 접근
측면에서 비판적 사고 기능과 성향을 길러주는 것이 정치적 관용과 같은 민
주적 가치와 태도를 효과적으로 증진하는 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political
tolera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addressing gaps in current
educational approaches that emphasize tolerance as an abstract value without
adequately equipping students to confront the roots of intolerance. The research
examines how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s influence political tolerance,
proposing enhancements to social studies curricula.
Using a sample of 300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study employ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wo hypotheses: that critical
thinking positively influences political tolerance, and tha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moderate this relationship. The findings indicate that both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s significantly enhance political tolerance;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disposi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critical thinking into
political education, suggesting that fostering such skills and dispositions may more
effectively promote political tolerance and democratic values than traditional methods.
The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educators seeking to improve political tolerance
education in South Kore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