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헤테로토피아로서의 동아시아 전통 정원 연구 - 삼신산 신화와 우주 거북 신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26
- 영문명
- Study of East Asian Traditional Gardens as Heterotopias: Focusing on the Myth of the Three Sacred Mountains and the Cosmic Tortoise Myth
-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 저자명
- 이정하(Jeong-Ha Lee)
- 간행물 정보
- 『중국소설논총』제73집,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상을 지탱하는 우주 거북(Cosmic Tortoise) 신화는 동아시아에서도 나타나는데, 신선들이 사는 삼신산이 떠내려가지 않게 받쳐 주는 존재로 등장한다. 삼신산은 주류 이데올로기와 무관하게 전통 시기 사람들이 꿈꾸던 이상향이었고, 우주 거북은 종종 생략되기도 했으나 삼신산과 더불어 동아시아 전통 정원 조경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남원 광한루원과 교토 니시혼간지의 코케이 정원이 그 좋은 사례이다. 두 정원은 모두 전체적으로 이상적인 공간으로 만들어졌다. 광한루원은 은하수 연못과 홍교를 통해 천상과 지상을 잇고, 삼신산과 자라 돌을 놓아 신선 세계임을 밝혔고, 코케이 정원은 여산을 차경하여 호계를 표현하는 한편 봉래산과 우주 거북을 동시에 뜻하는 거북 바위를 이용하여 이 역시 신선의 공간임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이처럼 정원을 공들여 삼신산의 모습으로 꾸몄던 까닭은 정원이란 사람들이 외부로부터 내부를 지키고, 밖으로부터 숨어들 안이기 때문이었다. 옛사람들은 익숙하지만 닿을 수 없는 유토피아의 모습을 정원이라는 공간에 끌어들임으로써 실제로 몸담을 수 있는 안락한 헤테로토피아를 구현했다.
영문 초록
The myth of the Cosmic Tortoise, which supports the world, also appears in East Asia, where it is depicted as holding up the Three Sacred Mountains (三神山) to prevent them from drifting away. The Three Sacred Mountains represented an ideal world that people dreamed of, regardless of the prevailing ideology. Although the Cosmic Tortoise was sometimes omitted, it, along with the Three Sacred Mountains, played a crucial role in traditional East Asian garden design. The Gwanghallu Garden in Namwon and the Kokei Garden at Nishi Honganji in Kyoto are exemplary cases. Both gardens were crafted to represent an ideal space. Gwanghallu Garden connects the heavens and earth with its Milky Way Pond and Rainbow Bridge, incorporating the Three Sacred Mountains and Soft-Shelled Turtle Stone to symbolize the world of immortals. Similarly, Kokei Garden borrows the image of Mount Lu and displays the Turtle Stone, which represents both Mount Penglai and the Cosmic Tortoise, to highlight its connection to the realm of immortals. The reason for painstakingly designing gardens in the image of the Three Sacred Mountains was that gardens served as sanctuaries, shielding the inner world from the outside. By bringing the familiar yet unattainable utopia into the garden space, people created a tangible and comfortable heterotopia.
목차
1. 들어가며
2. 동아시아우주거북의유래
3. 동아시아전통정원의우주거북
4. 정원에삼신산이필요했던까닭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소설논총 제73집 목차
- 국경을 넘어온 선물, 吸毒石 - 조선, 중국, 서양 문헌 속 흡독석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 헤테로토피아로서의 동아시아 전통 정원 연구 - 삼신산 신화와 우주 거북 신화를 중심으로
- 법의학서 《無冤錄》의 <論辨>·<格例>를 통해 본 전통시대 한중 재판 서사
- 장아이링(张爱玲) 산문에 나타난 조계지 상하이와 여성성 - 산문집 《张爱玲散文》을 중심으로
- 청말 ‘부엌일’의 여성 주체화와 지식정보화 - 曾懿 《中饋錄》의 출판과 담론을 중심으로
- 허버트 앨런 자일스 《중국 동화집(Chinese Fairy Tales)》 속 《聊齋志異》 번역 양상
- 中韩意识流小说人物“自我觉醒”分析 - 以施蛰存《春阳》和李箱《翅膀》为中心
- 퀴어 서사의 변화와 관계 맺기의 정동 - 타이완 영화 <처음 꽃향기를 만난 순간>을 중심으로
- 일본군 점령시기 상하이의 문화통제기제 연구 - 법적 준거와 조직
- 루쉰을 통해서 본 중국 IP 산업 영역의 확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