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Gift that Crossed the Border, Xidushi: Focusing on Records Related to Xidushi in Joseon, China, and Western Documents
-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 저자명
- 김민호(Min-Ho Kim)
- 간행물 정보
- 『중국소설논총』제73집, 23~5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북경을 방문한 조선 연행사에게 서양 선교사는 吸毒石을 선물했다. 흡독석은 인도 등 남아시아 지역에서 서양으로 전파되었고, 다시 서양 선교사의 손을 거쳐 중국과 조선, 그리고 일본으로 전파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吸毒石原由用法》 등 서양인이 기록한 흡독석 관련 문헌을 소개하고, 《本草綱目拾遺》 등 중국 문헌 속의 흡독석 관련 기록들을 소개·비교한다. 그리고 조선의 연행록에 수록된 흡독석 관련 내용을 정리하고, 흡독석을 언급한 정약용, 서유구, 조재삼, 이규경 등의 관련 저작을 소개하여 과거 조선에서도 흡독석이 활용된 상황을 소개한다. 이와 함께 근현대 일본에서의 흡독석 판매 상황과 현대 인도에서 최근까지 활용되는 흡독석 상황을 소개한다. 이 논문은 국경을 넘나든 예물인 흡독석 연구를 통해 조선이 중국을 넘어서 서양과도 연결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Western missionaries presented Xidushi[Snake Stone] to Joseon entourage who visited Beijing. Xidushi originally spread from South Asia, such as India, to the West, and then to China, Joseon, and Japan through the hands of Western missionaries. This paper introduces documents related to Xidushi recorded by Westerners, such as Xidushi Yuanyou Yongfa, and introduces and compares records related to Xidushi in Chinese documents, such as Bencao Gangmu Shiyi. It also summarizes the contents of Xidushi contained in Joseon's records of travel to China and introduces the situation in which Xidushi were used in Jose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Joseon documents that mentions Xidushi by Jeong, Yak-Yong, Seo, Yu-Goo, Joe, Jae-Sam, and Lee, Kyu-Kyeng. In addition, it also introduces the situation of Xidushi sold in modern online stores, along with the sale and use of Xidushi in Japan and modern India. This paper shows that Joseon was connected not only to China but also to the West through this study of Xidushi, the gift that crossed borders.
목차
1. 들어가며
2. 서양인기록속흡독석
3. 중국문헌속흡독석
4. 조선문헌속흡독석
5. 근현대흡독석의사용과그판매
6.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소설논총 제73집 목차
- 국경을 넘어온 선물, 吸毒石 - 조선, 중국, 서양 문헌 속 흡독석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 헤테로토피아로서의 동아시아 전통 정원 연구 - 삼신산 신화와 우주 거북 신화를 중심으로
- 법의학서 《無冤錄》의 <論辨>·<格例>를 통해 본 전통시대 한중 재판 서사
- 장아이링(张爱玲) 산문에 나타난 조계지 상하이와 여성성 - 산문집 《张爱玲散文》을 중심으로
- 청말 ‘부엌일’의 여성 주체화와 지식정보화 - 曾懿 《中饋錄》의 출판과 담론을 중심으로
- 허버트 앨런 자일스 《중국 동화집(Chinese Fairy Tales)》 속 《聊齋志異》 번역 양상
- 中韩意识流小说人物“自我觉醒”分析 - 以施蛰存《春阳》和李箱《翅膀》为中心
- 퀴어 서사의 변화와 관계 맺기의 정동 - 타이완 영화 <처음 꽃향기를 만난 순간>을 중심으로
- 일본군 점령시기 상하이의 문화통제기제 연구 - 법적 준거와 조직
- 루쉰을 통해서 본 중국 IP 산업 영역의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