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유의어 연구 - ‘숨기다’와 ‘감추다’의 의미 분석
이용수 10
- 영문명
- Study on Synonym for Learners of Korean - A Semantic Analysis of ‘숨기다’ and ‘감추다’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丹原邦博(Tambara Kunihiro)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6권 1호, 39~5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기초 연구로 한국어 타동사 유의어인 ‘숨기다’와 ‘감추다’의 의미를 연구한 것이다. ‘숨기다’와 ‘감추다’의 공통 상위 개념은 ‘비인격적 대상을 남이 못 보게 또는 모르게 함’이다. 그런데 각 동사의 의미 자질이 변별되는데 우선 ‘숨기다’의 경우 선행 목적어로는 ‘인격적 대상’과 ‘독립성 대상’로 한정되고 의도성이 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반해 ‘감추다’는 ‘드러난 신체성 대상’과 ‘비실체성 명사’와 어울리며 행위가 자연스러운 경우와 의도성이 약할 때 사용되는 특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 basic research that investigated semantics of transitive verbs ‘숨기다’ and ‘감추다’ for learners of Korean. ‘숨기다’ and ‘감추다’ have a common superordinate concept that is ‘not let something see in the eyes of a person’. But two verbs discriminated between their semantics, first it is restricted number of objects preceding ‘숨기다’ that are ‘human being’ and ‘independent thing’ when speaker has an intention of behavior seriously. On the other hand, ‘감추다’ is associated with ‘exposed physical thing’ and ‘noun with immateriality’ when speaker has an intention of behavior weakly and naturalness of behavior.
목차
1. 머리말
2. ‘숨기다’와 감추다’의 의미 분석
3.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