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발화에 나타난 음운 첨가 현상 연구

이용수 16

영문명
Study on the Addition of Sounds in the Spoken Language of Chinese Learners
발행기관
한국어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김지현(Ji Hyu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어문화교육』제6권 1호, 25~3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실제 발화에서 어떤 음운이 첨가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의 발화를 수집하여 구어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의 차이도 알아보았다. 음운 첨가 양상을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자음의 경우, ‘ㄱ, ㄴ, ㅁ, ㄹ’의 첨가가 나타났으며, 모음의 경우, ‘으’ 첨가만이 나타났다. 한국어 학습자의 목표가 한국어를 정확하게 학습하는 것과 더불어 한국어를 자연스럽고 유창하게 발화하는 것이므로 현대 한국인이 사용하는 구어의 양상을 파악하여 외국인 학습자에게도 교육할 필요가 있다. 그럼으로써 한국어학습자와 모국어 화자 간에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이를 위한 시도의 하나이다.

영문 초록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the addition of sounds in the spoken language of Korean learners, and to compare with the aspects of Korean native speaker's spoken language. A sound - either a consonant or a vowel - is added in various ways. As for consonants, 'ㄱ, ㄴ, ㅁ, ㄹ' are added. For vowels, only ‘으’ is added. The targets are limited to intermediate·advanced level and their output was collected, recorded and analyzed. The addition of sounds is attributable to make pronunciation simple and to achieve paradigmatic regularity. The purpose of Korean learners is to speak Korean fluently with Korean native speakers as well as to learn accurately. In this respect, this study attempt to observe the phonological processes of Korean learners.

목차

1. 들어가기
2. 첨가 현상의 특징 및 연구 방법
3.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에 나타나는 음운 첨가 현상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현(Ji Hyun Kim). (2012).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발화에 나타난 음운 첨가 현상 연구. 한국어문화교육, 6 (1), 25-37

MLA

김지현(Ji Hyun Kim).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발화에 나타난 음운 첨가 현상 연구." 한국어문화교육, 6.1(2012): 25-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