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난관리의 조직구조와 시스템이 재난관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32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System of Disaster Management on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정책개발학회
- 저자명
- 이일호(Il ho Lee) 최진식(Jin Sik Choi)
- 간행물 정보
- 『정책개발연구』제24권 제1호, 117~15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난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공무원의 재난관리 인식을 기반으로 재난관리의 조직구조와 재난관리시스템이 예방ㆍ대비ㆍ대응ㆍ복구 단계별 재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재난관리성과의 예방 단계에는 지원, 법·제도, 교육훈련 순으로 영향을 나타냈고, 대비 단계에는 법·제도와 교육훈련, 협력, 지원의 순으로 영향을 보였다. 그리고 대응 단계에는 협력, 공식화, 교육훈련, 법·제도 순으로 영향을 나타냈고, 복구 단계에는 교육훈련, 공식화, 협력, 법·제도, 지원, 집권화 순으로 영향을 보였다.
연구결과는 재난관리성과 향상을 위해 조직구조의 공식화 측면에서 직무수행의 표준화 및 명문화된 매뉴얼을 마련함으로써 대응과 복구 단계를 준비하고, 집권화 측면에서는 재난 수습을 위한 특별재난지역 선포, 복구 자원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신속한 의사결정과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재난관리시스템의 법·제도 측면에서 범정부적 통합적 정책 수립, 기관 및 지역별 연계적인 체계 구축이 필요하고,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조직 상호 간에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 인적·물적, 재정적 지원 측면에서는 인력 확충,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고, 마지막으로 재난관리 업무담당자 교육은 상황을 기반으로 참여형 및 문제해결식 형태로 전환하는 교육훈련 체계의 보완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ddress the impact of the structure of the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and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n disaster performance at each stage of prevention, preparation, response, and recovery. A survey was conducted on 289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disaster affairs at central ministries and local governmen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aws and institutions, support, and education and training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isaster prevention. Second, laws and institutions, cooperation, support, and education and training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isaster preparation. Third, formalization, legal and institutional coopera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isaster response. Fourth, formalization and centralization, legal and institutionalization, cooperation, support, and education and train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disaster recovery. These findings show that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standardized and stipulated manual for effective job performance, the command system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recovery resources and the declaration of special disaster, and a regular venu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책학분야 NEW
- 지역균형발전과 인구감소 대응:23년도 인구감소대응 국가시행계획 비평
- 지방공무원 인력공백 해소를 위한 정책방향 연구 -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식품사막 현상의 공간적 접근 - 전북 지역의 사례와 함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