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공무원 인력공백 해소를 위한 정책방향 연구 -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Study on Workforce Policy to Address Personnel Gaps in Municipality : Case of South Korea’s Si-Gun-Gu Local District Government
- 발행기관
- 한국정책개발학회
- 저자명
- 김대욱(Daewook Kim) 조원혁(Wonhyuk Cho) 조선일(Seonil Cho)
- 간행물 정보
- 『정책개발연구』제24권 제2호, 107~13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초지방자치단체 지방공무원 인력공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시군구 연맹의 협조를 얻어 획득한 인사통계 기초자료, 지방공무원 서베이조 사, 인사담당 공무원 인터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인사통계 기초자료 분석결 과 지방공무원 인력공백의 양상이 다양한 측면에서 발견되었다. 서베이 인식 조사결과 지방공무원 대부분이 인력공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인력공백으로 인한 업무부담과 사기저하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공백의 가장 큰 원인은 휴직자의 증가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인력공백 으로 인한 업무공백은 신규채용이나 외부 인력충원보다는 조직내 기존 자원 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었다. 인력공백 해소를 위한 정책방향으로 는 전략적 인력계획의 수립, 휴직자에 대한 대책마련, 시군구별 상이한 여건을 고려한 정책수립, 전출방지대책 고려, 임용시험 2회 실시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workforce policy directions to address the personnel gaps amo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Si, Gun, Gu local district governments. Original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cooperation of the National Public Officials Union’s Si, Gun, Gu district federation, along with a survey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interviews with personnel management officers. The analysis of the data shows the phenomenon of personnel gaps amo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 perception survey presents that most officials are aware of the problem, linking it to increased workloads and declining morale. The most commonly cited cause of personnel gaps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officials on leave. Rather than hiring additional staff or recruiting externally, many local governments rely on existing resources to cover the workload, which in turn causes stress and inefficiency. Our study recommends several solutions, including strategic workforce planning, workforce forecasting for specific regions, better management of officials on leave, measures to reduce staff turnover, and holding civil service exams twice a year to streamline recruit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인력공백의 실태
Ⅴ. 인력공백에 대한 인식
Ⅵ. 결론:정책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균형발전과 인구감소 대응:23년도 인구감소대응 국가시행계획 비평
- 지방공무원 인력공백 해소를 위한 정책방향 연구 -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식품사막 현상의 공간적 접근 - 전북 지역의 사례와 함의
- 한국정책개발학회 학술지의 출판 동향과 연구생산성 분석
- 정책옹호연합모형을 활용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사업 공론화 전략 연구 - 프랑스와 대한민국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 비영리조직 평판과 조직 대응성이개인 기부행위와 기부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역 화학물질 안전 거버넌스 활성화 영향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 이해관계자 FGI를 중심으로
- 사회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도농복합시 공간구조분석 - 화성시를 사례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책학분야 NEW
- 지역균형발전과 인구감소 대응:23년도 인구감소대응 국가시행계획 비평
- 지방공무원 인력공백 해소를 위한 정책방향 연구 -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식품사막 현상의 공간적 접근 - 전북 지역의 사례와 함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