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의 가정환경 변인과 리더쉽간의 관계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Relationship on Home Environment Factor and Child's Leadership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김순자(Soon Ja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6 No.2, 5~2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Home Environment effect of child's Leadership is very important. As predicted Home environment support an well an every family experiences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positive environment of young children. It was noteworthy that home environment were activity involved with mother and father, education level and intellectual ability.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is significant : introgative control (t=2.78 p=0.007) interaction (t=6.03 p=0.000) The result of this study of child's leadership is according to Home Environment, parent's education was most closely related to children's leadership ability. The amount of variance that explained children's Leadership ability increased with increase in children's age.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