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들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이 미래결혼과 출산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4
- 영문명
-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Awareness on Marriage and Childbirth to Future Marriage and Childbirth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도미향(Mi-Hyang Do)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6 No.4, 163~17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래의 부모가 될 대학생들의 결혼과 출산 인식이 미래결혼과 출산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보다 실효성 있는 자녀출산 의식함양 프로그램개발 및 정부정책이 수립될 수 있는 정책적 토대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충남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미혼학생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첫째, 대학생들의 결혼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라는 점에 대해서는 긍정적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자녀인식에 대한 연구결과는 자녀양육에 드는 사교육비 부담, 집값, 생활비부담 및 취업여성의 영유아 양육고충에 대해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대학생들의 저출산 원인에 대한 인식의 연구결과는 자녀 양육비 부담, 경제위기로 인한 취업 및 직업의 불안정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자녀가 있는 가족들에게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해 주어야 하는 것에 관한 인식에서는 자녀 1인당 양육비, 자녀양육 및 교육비 지출에 대한 소득공제 지원, 보육서비스 공공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이 미래결혼과 출산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결혼인식과 출산인식이 출산할 자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결혼인식과 계획자녀수, 성별, 연령, 출산인식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looked into possible future parents and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marriage and childbirth as regards future marriage and childbirth in order to develop more effective programs to raise consciousness about bearing children and to provide a political framework for making policies. The study surveyed 233 unmarried college student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colleges in the Choong-nam province of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iscussed below. The methods used for analyzing the data were frequenc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al analysis. First, most of the college students had a positive perception toward marriage; however, they scored low on the question of whether marriage was an obligatory action. Second, their recognition of children as regards the issue of 'having to pay educational expenses for children' scored highest while two other categories, 'having to deal with living expenses' and 'having difficulty as a working woman' were next. Compared to other categories, 'having to bear a son' or 'having to bear children for their parents' needs' had low scores. Third, this study's analysis of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marriage and childbirth as regards their future marriage and childbirth experiences found that such a realization positively affected the number of children that they wanted to bear. Also, awareness about marriage and childbirth and the number of children they were planning to have, as well as gender and age were correla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