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이용수 4
- 영문명
-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on Psychological Distress: The Mediating Role of the Differentiation of Self and th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윤성민(Sung-Min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9 No.4, 757~77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differentiation of self and th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link between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psychological distress with data from 317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ed that a hypothesized model produce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a competitive structural model including no direct path between the differentiation of self and th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 analysis supported full mediation models whereby the differentiation of self and th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fu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the mother's care and psychological distress, between the father's care and psychological distress, and between the father's overprotec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Overall, perceived parenting styles seem to protect people from depression and anxiety by fostering the differentiation of self and th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LMX(Leader-Member Exchange), TMX(Team-Member Exchange)에 미치는 영향
- 사회관계망의 친밀도가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부모역할 책임의식이 부모양육 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 초기노년기 이혼여성의 이혼 후 적응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신혼기 부부의 부부관계신념 인지가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성인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 가정건강성과 가족생활의식 및 건강가정 사업에 대한 요구도
- 부모의 양육행동이 남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족 중도입국자녀의 사회연결망에 관한 사례연구
- 다문화시대 사회통합 관점에서의 다문화가족정책 및 전달체계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
-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영유아기 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과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아동기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코칭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 다문화가족 시어머니를 위한 고부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가족기능, 문화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인식 및 자원봉사 태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