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의도(思, cetanā)의 수행적 역할과 의의

이용수 12

영문명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Intention (cetanā) in Early Buddhist Practice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곽정은(Jung Eun KWAK)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79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붓다는 의도(思, cetanā)가 곧 업이라는 선언을 통해 행위 이전에 일어나는 의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인간에게 있어 의도는 주요한 인식 과정의 하나이며, 또한 초기불교의 다양한 문헌적 배경을 통해 의도는 수행에 있어서도 중요한 영역으로 다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의도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하며, 수행의 차원에 있어서도 그 대상은 자신의 몸이나 호흡에 한정되어 신념처(身念處, kāyanūpassanā) 중심의 수행이 권장되어 왔다. 그러나 수행자의 성장과 발전에 따라 수행의 범주 또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의도는 몸과 마음의 작용 모두에 관여하며, 마음의 오염과 윤회, 해탈과도 긴밀하게 연관된다. 또한 의도와 업은 상호적 관계에서 작동하기도, 의도가 업을 추동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역동적인 관계를 맺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경전에 나타나는 인식 과정을 살펴보면, 접촉과 느낌은 인간의 인식 과정에서 갈애와 집착 혹은 희론 등의 부정적인 결말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한다. 불교 수행은 이 과정에 개입하여 부정적인 흐름으로의 전개를 조정하도록 돕는다. 특히 의도는 느낌과 지각의 이전과 이후, 혹은 갈애의 발생 전에도 나타나는 것이 확인된다. 따라서 수행자는 갈애 등을 다스리기 위해 의도를 수행의 대상으로 적용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마음을 관찰하는 것보다 몸을 관찰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는 시각으로 인해, 몸의 감각과 동작을 관찰하는 수행이 권장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의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통해, 몸과 마음의 영역을 함께 알아차리는 수행으로 나아갈 수 있다. 수행자는 행위 이전에 나타나는 의도를 관찰하고 분명히 알아야 한다. 이는 곧 수행의 진보와 직결된다. 초기불교에서 의도는 갈애로의 확장은 막고, 해탈로 향하는 길을 닦기 위한 중요한 수행의 대상이다.

영문 초록

Through the declaration that “cetanā is karma,” the Buddh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ention, which occurs before action. Intention is a major process in humans, and it has been treated as an important area of practice in the literature of early Buddhism. Nonetheless, research on this topic is somewhat lacking. In meditation practice, the focus is often restricted to the body or breath, with recommendations favoring body-centered techniques. As practitioners grow and develop, however, there is a need to broaden the scope of their practice. In examining the process of perception as described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the concepts of contact (phassa) and feeling (vedanā) play a role in giving rise to negative such as longing, obsession, or delusion in the process of human perception. Buddhist practice intervenes in this process and helps to adjust the development of negative psychological flow. In particular, intention appears before and after feelings and perceptions, and even before the occurrence of y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practitioner to apply intention as the object of practice in order to control yearning. By focusing on intention, we can proceed to the practice of recognizing the areas of the body and mind together. The practitioner should be aware of and observe the intention that precedes an action. This is directly linked to the progress of practice. In early Buddhism, intention is considered an important object of practice to prevent the expansion of yearning and pave the way for liberation.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초기불교의 의도
III. 의도와 업 그리고 윤회
IV. 관찰 대상으로서의 의도
V. 마치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정은(Jung Eun KWAK). (2024).의도(思, cetanā)의 수행적 역할과 의의. 불교학연구, (), 1-22

MLA

곽정은(Jung Eun KWAK). "의도(思, cetanā)의 수행적 역할과 의의." 불교학연구, (2024):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