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학문화 복지 정책설계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연구

이용수 48

영문명
Rsearch on science culture welfare policy design: Focusing on programmes to bridge the gap between science culture marginalised groups
발행기관
경인행정학회
저자명
이승현(Seunghyun LEE) 이유현(Youhyun LEE)
간행물 정보
『한국정책연구』제24권 제2호, 159~18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외계층 대상으로 운영하는 과학문화확산 사업을 대상으로 Howlett의 정책설계 이론을 분석틀로 활용하여 각 사업별 특징을 파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분석결과, 소외계층 대상으로 운영하는 과학문화확산 사업은 과학문화 격차해소라는 공통의 정책목표를 가지고 운영되었고, 사업의 전달체계는 바우처와 현물방식으로 나뉘었다. 주요 정책행위자로 과학문화 바우처 사업은 타 부처 서비스에 비해 지역과의 연계가 미흡하였으나 두드림 프로젝트(찾아가는 과학관) 및 생활과학교실 사업은 지역과의 연계가 활발하였다. 정책대상 집단은 전달체계의 특징에 따라 과학문화 바우처 사업은 경제적 소외계층, 두드림 프로젝트 사업은 지리적 소외계층을 중점적 대상으로 운영하였고, 생활과학교실은 사업은 경제·지리·사회적 소외계층과 일반국민 모두를 대상으로 운영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문화 소외계층의 확장적 개념화, 과학문화복지 정책대상의 실태 파악,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의 과학문화 복지서비스 제공 확대 등을 제안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ses Howlett's policy design theory as an analytical framework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ject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cience and culture diffusion projects operated for the underprivileged groups were operated with a common policy goal of closing the science and culture gap, and the delivery system was divided into voucher and in-kind methods. As a major policy actor, the science culture voucher project was less connected to local communities than other ministry services, but the Dooderim Project (visiting science centres) and the Life Science Schoolroom project were more connected to local communities. The science culture voucher programme targeted the economically disadvantaged, the Tapping Project targeted the geographically disadvantaged, and the Life Science Classroom targeted both the economically, geographically, and socially disadvantaged and the general public,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livery system.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d an expanded conceptualisation of the underprivileged in science culture, to identify the actual situation of science culture welfare policy targets, and to expand the provision of science culture welfare services from provider-centred to consumer-cent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현(Seunghyun LEE),이유현(Youhyun LEE). (2024).과학문화 복지 정책설계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정책연구, 24 (2), 159-182

MLA

이승현(Seunghyun LEE),이유현(Youhyun LEE). "과학문화 복지 정책설계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정책연구, 24.2(2024): 159-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