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부부처의 조직이미지가 입사의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image of a government on the Employment Intention: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Korea Heritage Service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김창진(Chang Jin Kim) 조일형(Il Hyeong Cho) 채경진(Kyung Jin Chae)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4권 제2호, 133~15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는 국가유산청(舊 문화재청)을 대상으로 국민이 인식하고 있는 정부조직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제고시키고, 우수 인재를 유인할 방안이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조직이미지의 영향요인이 전반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입사의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설문지 배포·수집을 통한 집단 간 평균차이 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집단 간 평균차이에서는 조직이미지 영향요인과 전반적 이미지, 입사의향에 있어 학력, 직업, 권역별로 세부 요인마다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에서는 민주성을 제외한 개혁성, 효율성, 책임성이 전반적 이미지와 입사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가유산청이 조직이미지를 개선하고, 우수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개혁성, 효율성, 책임성에 초점을 맞춘 시사점 및 정책적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a government called the Korea Heritage Service(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o positively enhance its image as perceived by the public and explore ways to attract excellent talent. To this end, we analyzed how the factors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image of the Korea Heritage Service affected not only the overall image but also the employment intention. In the analysis, intergroup average differe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urvey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rgroup average difference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detailed factors by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region in terms of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image, overall image, and employment intention. A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reformativeness, 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excluding democracy, had a positive effect on overall image and employment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Korea Heritage Service presented implications and policy measures focusing on reformativeness, 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in order to improve its image and attract excellent tal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Humanities Weekly Events and the Improvement of Regional Attachment
-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Dementia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Severity of Dementia and Proposing Policy Improvement Strategies
- Deputy Mayor Appointment System in South Korea: Challenges and Reforms for Local Autonom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