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주 학봉리 요지 출토 분청사기의 현황과 특징
이용수 10
-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Buncheong Ware Excavated from Hakbong-ri Kilns, Gongju
- 발행기관
- 국립공원연구원
- 저자명
- 이준광(Jun-kwang Lee)
- 간행물 정보
- 『국립공원연구지』제15권 제1호, 196~209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계룡산 분청사기”로 잘 알려진 공주 학봉리 분청사기는 일제강점기부터 조사가 이뤄졌으나 이후 재조사를 통해 가마의 구조가 명확히밝혀졌다. 철화 분청사기로 널리 알려진 요지이지만 인화와 귀얄 기법을 복합하여 사용한 것의 양이 가장 많았다. 문양 소재로는 어문, 연지문, 모란문이 대표적이었으며 3개 관사의 명문도 확인했다. 학봉리 분청사기 요지는 긴 기간 존속하였기 때문에 제작 변화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점, 관사명 분청사기를 생산한 점, 철화 기법이 갖는 창의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자사 상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영문 초록
The Buncheong ware in Hakbong-ri, Gongju, well-known as “Gyeryongsan Buncheong ware,” has been investigat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but its structure has since been clarified through re-investigation. Although it is a well-known feature of iron painting Buncheong ware, the most common combination of Inhwa and Gwiyal techniques was used. As for the pattern materials, fish, lotus ponds, and peony designs were representative. Prestigious government offices existed. The Buncheong ware point in Hakbong-ri is very important in ceramic history in that it shows the change in production. Because it has exi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duction of Buncheong ware under the name of the government office and the creativity of the iron painting technique can be found.
목차
서론
공주 학봉리 요지의 현황과 가마 구조
출토 유물의 특징
학봉리 분청사기의 의미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립공원연구지 제15권 제1호 목차
- 오대산국립공원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 분포 특성
- Two Species of the Genera Orthomiscus and Thymaris (Hymenoptera: Ichneumonidae: Tryphoninae) New to South Korea
- Reproductive Biology of Bupleurum euphorbioides, a Vulnerable Alpine Herb in Korea, Impacted by Climate Change
- 국립공원 생태탐방원의 브랜드 포지셔닝
- 소백산국립공원 죽령습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동태
- 무등산국립공원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섭식기능군 및 군집안정성 분석
- 가야산국립공원의 어류군집 특성 및 하천건강성 평가
- 태백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 10개 조사구역을 중심으로
- 변산반도국립공원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다양성에 관한 연구
- 계룡산국립공원 내 사찰과 불교조각
- 대응분석을 활용한 국립공원 생태 문화·교육플랫폼 조성 예정지별 방문 특성 분석
- 국립공원 탐방지 선택특성에 따른 집단간 탐방행태 비교 연구
- Vascular plants of Namhae-gun area (Namhae Bridge and Sangju· Geumsan district)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 공주 학봉리 요지 출토 분청사기의 현황과 특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